문화관광부는 조선초기 문신으로 한글창제를 위해 공헌했고 충절과 의리의 삶을 보여준 매죽헌(梅竹軒) 성삼문(成三問·1418~56)선생을 '7월의 문화인물'로 선정했다.
조선조 태종 18년 충청도 홍주 적동리 노은동(현재 충남 홍성군 홍북면 노은리) 외가에서 태어난 성삼문은 태어날 때 공중에서 "낳았느냐"고 묻는 소리가 세번 들렸다 하여 이름을 '삼문(三問)'이라 지었다고 한다.
그는 집현전 학사이자 어문학 및 음운학자로서 세종을 도와 한글을 만들기 위해 중국 요동을 13차례나 왕래하는 등 훈민정음 창제에 이바지했다.
또한 수양대군의 왕위찬탈을 불의로 규정하고 단종의 왕위 회복을 도모했던 그는 부귀영화를 물리치고 충절과 의리를 끝까지 주장하다 38세의 나이로 처참한 최후를 맞았던 사육신 가운데 한 사람이다.
한국어문회는 성삼문의 문화인물 선정을 기념해 내달 26일 대우학술재단 세미나실에서 학술발표회를 개최한다. 이어 매죽헌 성삼문 선생 유적보존회는 오는 10월 23일 '성삼문 문집 한글번역 출판기념회'와 '논문학술 발표회'를 가질 계획이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
조국 "오세훈 당선, 제가 보고 싶겠나…내년 선거 피하지않아, 국힘 표 가져올 것"
강득구 "김현지 실장 국감 출석하려 했는데, 국힘이 배우자까지 부르려"
삼국통일 후 최대 국제이벤트 '경주 APEC' 성공(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