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삿짐 가득 실은 말 달구지
기적소리 들리는 푸른 굴다리 지나
문門안 동네로 따각따각 들어갈 때
아버지 30촉 전구알 돌려 꼽으면서 씩씩히 말했네
"자 여기가 이제부터 우리가 살 집이다"
새 벽지가 뿜어대는 꽃 냄새를 맡으면서
나는 나비 같은 언니에게 물어 보았네
"왜 집은 함께 이사 오지 않았을까?"
"바보야 집은 그냥 거기에 남아 있는 거야"
지친 내 잠 속으로
노을처럼 쓸쓸함이 몰려올 때
남아 있는 집
멀리 어둑어둑 누워 있었네
능소화 피어 있는,
-이명주 '남아 있는 집'
▨이사는 근대의 산물이다. 농경문화적 삶은 한 곳에 뿌리 내린 삶이지만 산업화 이후의 삶은 떠돌이 삶이다. 요즘은 이사가 워낙 보편화 돼 그런 생각도 하지 못하겠지만 사실 이사는 자기 소외의 근원이다.
제 터전에 온전하게 자리잡지 못해서 하는 이사나 자녀의 학군 때문에 하는 이사조차도 사실은 그 근저에는 불안과 소외라는 근대의 심리적 기제가 놓여 있다. 그런 이사에는 반드시 남기고 온 집이 쓸슬하게 남기 마련이다.
김용락〈시인〉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