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해 피해를 막기 위해 형산강 협착지구 외팔교를 철거해야 한다".(경주시)"포항시가지 물난리를 막기 위해 외팔교가 있어야 한다".(포항시)
경주시와 포항시가 외팔교를 놓고 한치 양보없는 대립으로 치닫고 있으나 시공청인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양쪽 자치단체의 움직임에 눈치만 살필뿐 당초 계획했던 상판 철거도 보류한 채 '진퇴양난'이다.
국도 7호선 경주시 강동면 유금리에 위치한 길이 600m의 외팔교는 최근 경주∼포항간을 잇는 '유강터널'이 새로 개통돼 무용지물이 되면서 철거문제가 본격 대두되고 있지만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양 자치단체간의 팽팽한 주장을 핑계삼아 상판 철거도 외면한 채 방치해 주민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외팔교란 20년전 당시 2차선 국도를 4차선으로 확장할 당시 형산강에 교각을 세워 도로를 넓혔던데서 붙인 이름이다.
경주시 측은 당시 도로확장으로 형산강 하천을 잠식해 하폭이 좁아져 협착 지구가 되면서 홍수철만 되면 형산강 역류로 경주시 강동, 안강 일대가 수해를 입고 있다며 철거를 주장한다.
지난번 태풍 '루사' 내습때 165mm 강우량에도 외팔교 협착지구의 역류로 강물이 인접 강동면 유금리에 넘치는 위기상황이 발생, 긴급 대책으로 겨우 마을을 사수할 수 있었다는 것.
경주시의회 최학철(안강), 안진수(강동)의원은 "외팔교를 조기에 철거하지 않을 경우 주민들이 국도 점령 등 이후 발생하는 사태는 부산지방국토관리청에 책임이 있다"면서 투쟁을 선언했다.
반면 포항시는 "외팔교를 철거할 경우 물흐름이 빨라 형산강 하류가 범람, 자칫하면 포항시가지를 덮쳐 물바다가 될 우려가 있다"면서 부산지방국토관리청에 외팔교 존치를 강력히 요구했다.
경주시 관계자는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이 양쪽 자치단체의 건의를 놓고 고민하고 있는 것 같다"면서 "형산강 주변지역의 수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외팔교는 꼭 철거돼야 한다"고 말했다.
경주.박준현기자 jhpar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