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의류업체들의 노세일 정책 등으로 정상가격에 옷을 사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지만 남성 정장은 여전히 세일가격으로 구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한국섬유산업연합회가 전국 2천500가구를 대상으로 '2002년 상반기 옷 구입 실태'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세일가격 구입'이 47.7%, '정상가격 구입'이 46.0%, '모른다'가 6.3%로 나타났다.
지난 99년 37.9%에 불과했던 정상가 구입비율은 2000년 40.9%, 2001년 45.1% 등으로 조금씩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 세일가 구입비율을 넘어서지는 못하고 있다
특히 남성복은 세일가 구입이 54.2%로 여성복(47.8%)보다 높았고, 남성 정장 수트의 경우 세일가 구입이 86.8%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복 중에서는 비교적 가격대가 높은 코트(71.6%), 정장수트(60.6%) 등의 세일가격 구입비율이 높았다.
연령대로 세일가격 구입비율을 보면 15~19세가 46.5%, 20~24세 48.3%, 25~29세 49.4%, 30~34세 56.8%, 35~39세 61.2%, 40~44세 62.6%, 45~49세 62.9%, 50~54세 65.0%, 55세이상 65.8% 등으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세일때 옷을 사는 경우가 많았다.
업계 관계자는 "일부 업체들이 노세일 정책을 펴는 등 수익성 추구 경영을 확립해 나가면서 세일에 의존도가 낮아지고는 있지만 이같은 경향이 아직 업계 전반에 확산되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