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도·감청을 두고 빚어진 국정원과 한나라, 민주 양당간의 공방전이 확전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25일 한나라당은 "현 정부는 '국민의 정부'가 아니라 '국민 도청 공화국'"이라고 주장한 반면 민주당은 "(도·감청 사실에 대한)출처와 근거도 없이 국가 정보기관을 뒤흔들고 있다"고 반격했다.
서청원 한나라당 대표는 이날 확대선거전략회의에서 "현직 장관이 도청을 우려해 공중전화를 이용하는 기막힌 일이 벌어지고 있고 전직 총리는 핸드폰이 5개나 된다"며 "이 나라는 '도청공화국'"이라고 성토했다.
이규택 총무도 "신건 국정원장이 '도청장비도 없고, 도청사실도 없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국정원 간부가 모 언론사에 '휴대전화를 도청할 수 있는 첨단장비를 50대로 늘려 주요 인사들을 도청했다'고 제보했다"고 주장했다.
이 총무는 또 "현 정부는 '국민의 정부'가 아니라 '국민도청 공화국'으로 역사에 기록될 것"이라며 "신 원장의 허위진술이 드러날 경우 사퇴촉구 결의안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맞서 민주당은 한나라당 정형근 의원을 겨냥, "한건주의식 폭로로 나라를 어지럽혀서야 되겠느냐"면서 "검찰은 정 의원의 폭로가 허무맹랑한 3류 소설인지, 아닌지를 즉각 수사해 국민앞에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장전형 부대변인은 "정 의원이 '누구누구를 도청했는데 이는 국정원 자료'라는 식으로 정보기관을 끌어들여 무분별한 폭로전을 펼치는 것은 참으로 무책임한 처사"라며 "정 의원은 국정원 도청자료라며 제시한 자료의 전체내용과 출처를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24일 국가 정보위원회는 의원들간 막말 공방으로 논란을 벌이다 자동유회되는 파행이 빚어졌다. 민주당 김옥두·함승희·박상천 의원은 "정 의원의 도청설 제기로 국민이 불안해하는 만큼 도청이 사실이라면 관련 국가기관이 범죄행위를 한 것으로, 관련 직원들을 철저히 수사하고 정보를 유출한 직원도 엄벌하라"고 요구했다. 김 의원은 또 "만약 도청을 하지 않았다면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는 등 강력하게 법적대응을 하라"고 흥분했다.
그러자 한나라당 강창성 의원이 발끈, 세 사람간 고성이 오갔고 민주당 함 의원은 갑자기 안기부 예산전용 의혹을 꺼내며 "안풍(安風)사건과 관련, 의원들의 재산을 가압류해서라도 환수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뒤질세라 한나라당 홍준표 의원은 "근거도 없이 나눠먹었다고 말하느냐"고 재차 반격했고 다시 두 사람간 말싸움이 계속됐다.
의원들의 공방이 거듭되자 김덕규 위원장은 서둘러 정회를 선포했고 정회도중 신건 원장은 "국정원 감청시설에 대한 감사를 받을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나라당 정 의원은 "10월초 한화그룹의 대상 인수과정 도청의혹을 제기한 후 국정원은 서둘러 도청담당 부서를 없애고 인력은 다른 부서에 배치해 도청을 계속하고 있다"고 국정원의 도청설을 거듭 주장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