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 국어 산수 사회 자연 음악 미술. 초등학교 시절 매 학기마다 지니고 다니며 공부하던 교과서 이름이다. 온 세상을 다 담은 것처럼 보였던 책이지만 오랜세월이 지나 전시실에서 다시 만나니 바랜 색만큼이나 볼품없이 초라하다.
오늘날의 초등학교 교과서는 우선 판형을 키워 보기에도 시원시원하다. 다양하고 아름다운 글꼴, 이해를 돕기 위한 삽화나 만화 등 컬러풀한 편집으로 책을 드는 순간 보고싶은 마음이 절로 생긴다. 인쇄 상태나 지질 등 모든 면에서 격세지감을 느끼게 한다.
국어는 말하기·듣기, 쓰기, 읽기로 산수는 수학과 수학익힘책 등으로 한 과목이 두세 영역의 책으로 제작되고 있다. 한 학기에 공급되는 교과서는 1학년 때 9권 3학년에 올라오면 16권에 이른다.
이 많은 교과서들이 초등학생들에게 무상으로 지급된다. 서울을 제외하고 도서생산 1위가 충청남도란 통계에 의아해했던 사람들은 대한교과서주식회사의 생산 공장 가운데 하나가 조치원에 있다는 사실을 알면 그 의문을 쉽게 푼다.
얼마전 미국의 교과서를 살펴본 적이 있다. 책표지 안쪽에는 연도별로 사용자가 서명을 하여 수년 동안 후배들에게 물려가고 있었다. 나보다 뒤에 사용할 후배를 위하여 책을 깨끗이 보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종이의 재료가 되는 펄프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가 이렇게 잘 만들어진 교과서를 한 학기 동안만 사용하고 버리기에는 자원의 낭비가 너무 심하다.
교과서를 개발할 때 소모성향의 책과 참고로 활용해야 할 영역으로 나눌 필요가 있다고 본다. 후자의 경우는 수년 동안 사용해도 좋을 만큼 튼튼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런 참고용 도서나 매일 집에 가지고 다니면서 복습해야 할 필요가 없는 책을 사물함에 보관한다면 책의 수명을 늘리고 학생들의 가방 무게도 줄일 수 있지 않을까.
책을 물려주는 제도나 풍습은 이처럼 학생들에게 물건을 소중히 다루는 생활습관은 물론 남을 배려하는 생활자세까지 길러주어 교육적 효과가 생각보다 크다 하겠다.
도서출판 북랜드 대표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