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 오매 뼈가 다 녹은 청도 장날 난전에서
목이 타는 나무처럼 흙비 흠뻑 맞다가
설움을 붉게 우려낸 장국밥을 먹는다.
5원 짜리 부추 몇 단 3원에도 팔지 못하고
윤사월 뙤약볕에 부추보다 늘쳐져도
하굣길 기다렸다가 둘이서 함께 먹던…
내 미처 그때는 셈하지 못하였지만
한 그릇에 부추가 열 단, 당신은 차마 못 먹고
때늦은 점심을 핑계로 울며 먹던 그 장국밥.
-민병도 '장국밥'
▧시를 읽다보면 "유독 시란 무엇인가?"라는 생각을 불러일으키는 시가 있다. 체험의 절실성이 시적 기교를 압도한 경우이다. 이럴 땐 시가 정말 가슴을 친다. 이 시에서 나는 그런 감정을 느낀다.
모두가 난전에서 부춧단을 팔고, 밥을 굶어가면서 자식을 키운 것은 아닐지라도 우리 어머니의 희생과 헌신은 분명 남다르다. 그런 어머니의 젖을 먹고 자란 나는, 오늘 왜 이렇게 타산적이고 이기적일까?
김용락〈시인〉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최민희 딸 "작년 결혼했다" 스스로 페북 표시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