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5㎿(메가와트) 원자로, 8천여개의 사용후 연료봉(폐연료봉) 저장시설 봉인제거에 이어 23일 영변의 방사화학실험실에 대한 봉인 제거에도 착수했다고국제원자력기구(IAEA)가 밝혔다.
미국의 CNN방송에 따르면 IAEA는 북한이 5㎿(메가와트) 원자로, 8천여개의 사용후 연료봉(폐연료봉) 저장시설 봉인제거에 이어 23일 영변의 방사화학실험실에 대한 봉인 제거에도 착수했다고 밝혔다.
방사화학실험실은 폐연료봉의 화학적 처리를 통해 무기급 플루토늄을 추출할 수있는 핵재처리 시설이기때문에 이번 조치로 인해 북핵위기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북한이 방사화학실험실의 봉인도 제거함에 따라 지난 94년 제네바 합의에 의해동결된 5곳의 핵시설 가운데 3곳의 봉인이 제거됐다.
IAEA는 이에 앞서 22일(현지 시간) 북한이 최우선 감시대상인 8천여개의 폐연료봉 저장시설에 대한 봉인과 감시카메라를 제거했다고 발표했으며, 한 소식통은 10여개의 봉인장치가 제거되고 3대의 감시카메라 작동이 사실상 정지됐다고 전했다.
폐연료봉 8천여개는 25㎏의 플루토늄 239를 추출할 수 있어, 이를 통해 무기급플루토늄을 생산할 경우 핵폭탄 4-6개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모하메드 엘바라데이 IAEA 사무총장은 "폐연료봉에는 상당한 양의 플루토늄이 포함돼 있어 북한의 이번 조치는 핵무기 비확산과 관련해 매우 우려된다"고 말하고 이는 IAEA측의 원자로 감시활동에 대한 "심대한 방해행위"라고 규탄했다.
이에 따라 그동안 북핵 사태에 대해 "외교적 방법을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하겠다"는 한.미.일 3국의 대응기조도 변화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미국 뉴욕타임스는 23일 "부시 행정부가 북한을 침공할 의사가 없다고 거듭 확인해 왔지만 북한이 점점 더 핵무기 제조에 근접할 경우 '비외교적' 대응을 검토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부시 행정부의 한 고위관리가 경고했다고 보도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