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와 일본은 10일 북한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결정의 조속한 철회를 촉구하는 한편, 북핵 사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공동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러-일은 또 21세기 양국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 구축을 위해 가능한 한 빨리 영토 분쟁을 마무리짓고 평화조약을 체결하기로 노력하자는 등의 '행동 계획(액션 플랜)'을 채택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는 이날 낮 12시(한국시간 오후 6시)부터 3시간여 동안 크렘린궁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푸틴 대통령과 고이즈미 총리는 회담 뒤 발표한 공동 성명에서 북한의 NPT 탈퇴사태에 '심각한 우려'를 표시한 뒤 한반도 위기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푸틴 대통령은 회담 뒤 고이즈미 총리와 가진 합동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NPT탈퇴 사태는 대화를 통해 해결돼야 한다"면서 "러시아는 북한 지도부가 (NPT탈퇴를 발표하면서) 대화 여지를 남겨놓은데 주목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러시아는 한반도 비핵화와 대량 살상무기 비확산 원칙을 지지하며, 이 원칙은 변할 수 없다"면서 "우리는 주변국들과 협력할 준비가 돼 있으며, 북핵 사태는 대화로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다.
고이즈미 총리는 "일본은 북한의 즉각적 NPT 탈퇴 결정 철회를 요구할 방침"이라며 "러시아와 일본은 북한 핵 문제와 관련해 같은 견해를 갖고 있다"고 양국간 공감대를 강조했다.
푸틴 대통령과 고이즈미 총리는 당초 이날 정상회담에서 영토 분쟁을 포함한 러-일 양국 현안을 중점 협의할 계획이었지만, 북한이 돌연 NPT 탈퇴를 선언하고 나섬에 따라 이 문제를 주의제에 올렸다.
두 정상은 또 21세기 러-일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 구축을 위해 정치, 평화조약, 군사 안보, 경제 무역, 국제 협력, 사회 문화 교류 등 6개 분야의 협력관계를 더욱 증진키로 하는 액션 플랜을 채택했다.
한편 고이즈미 총리는 11일 극동 하바로프스크로 출발, 12일 하바로프스크에서 콘스탄틴 풀리코프스키 극동 연방지구 대통령 전권대리인 등과 회담한 뒤 귀국길에 오를 계획이지만, 북한 당국자 면담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