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정부는 16일 귀족계급의 마지막 잔재들을 법률에서 완전히 제거하는 법안을 마련, 의회에 제출했다.
이 법안에 따르면 귀족계급 자체는 철폐하지 않고 귀족계급을 정부와 연결시켜주는 법령들을 삭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귀족계급은 우표수집가회처럼 비영리 단체로서 존재하게 된다.
법안 작성자인 정부 관리 로게르 페테르손은 "이같은 조치들로 귀족이 특권 계급이었던 사회와의 마지막 연결고리가 단절되게 된다"고 말했다.
1723년 법령 조항은 귀족에게 국왕의 허가 없이도 나라를 떠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고 전쟁포로로 사로잡히는 경우 국왕의 지원을 보증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법안이 최종 확정되면 이같은 조항이 폐기되는 것이다.
중립국인 스웨덴은 1814년 이후 전쟁을 한 적이 없으며 국왕 구스타프 16세는 귀족 중 어느 누구에 대해서도 출국 금지령을 내릴 수 없다.
국왕은 국가원수이긴 하나 그의 의무는 의전적일 뿐이다.
1866년 귀족원 헌장도 법률에서 삭제된다.
이 헌장은 귀족 가문 수뇌회담과 매년 지급되는 소규모 주택 유지비 등에 관한 규정을 담고 있다.
헨릭 앙카르크로나 귀족원 의장은 AP통신과의 회견에서 "시대는 변하고 있으며 우리들도 시대에 따라 변해야 한다"고 말했다.
페테르손은 의회가 오는 3월 이 법안에 관해 표결을 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법안이 채택되는 경우 오는 7월 1일자로 발효된다고 밝혔다.
정치세력으로서의 귀족계급은 1865년 해체됐으나 귀족들은 개별적으로 국내외에서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을 유지해왔다.
근년에 두각을 나타낸 귀족들에는 고((故) 다그 하마슐트 유엔 사무총장, 칼 빌트 전 총리 등이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