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나치게 많은 빚과 운행 적자로 인한 경영 압박감이 이번 대구지하철 참사 발생에 중요한 원인이 됐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대구지하철공사는 출범 후 해마다 적자 운영을 하고 있으며 현재 안고 있는 빚은 1호선 건설 부채 1천800억원, 운영 부채 3천438억원 등 5천238억원에 이르고 있다.
이 때문에 대중교통수단 이용률 향상을 통한 대도시 교통문제 해결이라는 공공 목적보다는 경영 개선이 더 중요한 과제가 돼 왔다는 것이다.
공사측은 지난해 지하철 안전 관리에 투입된 돈이 전체 예산의 2%, 소모성 경비의 10% 정도인 27억여원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이 돈으로 관련 인건비, 시설 소모비(감가상각), 소모성 경비 등을 부담했을 뿐 아니라 전기 등 각종 기계·설비 수리, 예비부품 구입까지 감당해야 했다는 것.
그로 인해 소방시설에 오작동이 많았지만 근본적인 대응은 엄두를 못내고 임시 방편으로 대응하거나 아예 무시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화재 때 벨이 울리는 화재수신반이 자주 오작동을 일으켜 이번 화재처럼 정작 사고가 발생했을 때도 오작동으로 간주해 제대로 대응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또 통신망을 구성하고 있는 컴퓨터 장비들도 도입된 지 10여년 동안 업그레이드가 안돼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고 있다고 관계자들이 말했다.
경영이 어렵자 지하철공사는 인력 충원까지 미뤄, 시의회에 대한 올해 업무보고 때는 업무직의 10%, 기술직의 5% 등 전체의 7%가 정원보다 부족하지만 지출 감축 및 경영 개선을 위해 지하철 2호선 개통 때까지는 충원하지 않겠다고 밝혔었다.
전체 직원은 1999년 1천348명에서 올해 1천293명으로 55명 감소해 정원(1천396명)보다 103명 부족하며, 특히 부족인력은 역무원 쪽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철공사 본사는 정원 210명 중 3명이 부족한 반면 역무원은 정원 419명 중 57명(13.6%)이나 부족한 것. 공사측은 1999년 정비팀을 신설하면서 검수·승무원은 물론 역무원 등 비기술직까지 정비팀으로 옮긴 것으로 드러났다.
그 결과 각 지하철역 상시 근무자는 3, 4명이 고작이어서 이번 참사 때도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에 앞서 작년 경영진단에서는 역무관리 취약 및 본부 조직의 복잡·비대화가 문제점으로 지적됐었다.
이런 가운데 안전 투자 확대 등 지출예산의 자율적인 운용도 행정자치부 등 중앙정부 지침에 제약돼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관계자들은 말했다.
지하철공사노조 안갑수 사무처장은 "안전보다는 경영을 더 중시하는 경영 방침이 바뀌지 않는 한 근본적인 문제 해결은 불가능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hoper@imaeil.com
문현구기자 brando@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