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산 끝에 임명된 윤덕홍 신임 교육부총리가 취임하자마자 대입제도 개선을 시사하면서 공교육 부실화, 망국적인 과외, 대입 수능 등 교육 현안에 대한 소견을 밝혔지만, 이미 잘못된 진단으로 판가름난 사안들까지 들고 나오는 등 너무 서두른다는 느낌이 없지 않아 우려된다.
더구나 대입 제도가 또 바뀐다면 학부모와 학생들의 혼란과 불안은 물론 고교뿐 아니라 중학교·초등학교로 충격파가 번질 수 있다는 점에서도 걱정된다.
수능을 자격 시험으로 바꿔 과열 과외를 막고 부실 공교육을 정상화시키겠다는 의욕은 좋지만, 대학 입시의 합·불합격을 좌우하는 객관적인 장치가 있는 한 과외가 사라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고 하는 소리인지 모르겠다.
더구나 학생부 반영을 확대하면 모든 과목을 다 잘 하기 위해 과외가 더 극성을 부릴 가능성이 커지지 않을까. 학생들에게 공부를 많이 시키는 정책을 펴겠다고 했으나 여태까지 왜 잘 안 됐는가를 제대로 진단하고 처방을 찾는 등 문제의 핵심을 신중하게 짚는 일이 선행돼야만 한다.
백년대계라는 교육은 쾌도난마처럼 풀 수 있는 게 아니다.
모든 문제를 일시에 풀려고 하다가는 제자리걸음만 하거나 시행착오를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말로만 참교육을 외친다고 참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먼저 이런 학교 분위기를 조성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이상주 전 교육부총리의 쓴소리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특히 "우리나라 교육공동체는 상호비방·견제·상호불신 풍토로 얼룩져 있고, 교직사회는 심하게 정치화·과격화돼 있다"며, "사사건건 교육 개혁의 발목을 잡고 늘어지는 자기모순에 빠진 집단이 없어져야 교육이 발전할 수 있다"고 한 말은 절실한 경험담이어서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보수와 진보로 갈라진 교육계의 갈등을 치유하는 일도 빼놓을 수 없는 과제다.
성원해준 편의 구미에만 맞추지 말고 참교육을 위해 교육 주체와 수요자들이 함께 만족할 수 있는 정책을 차분하게 만들어나가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