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내 자치단체간 공무원 인사교류가 활성화되고 시·군의 부단체장 임용은 도에서 조정하는 대신 시·군 국장급(4급)의 도 전입 기회가 확대되며 부단체장 임명시 출신지역이 우대될 전망이다.
경북도는 최근 이같은 인사교류 활성화 방안을 마련, 각 시·군에 내려보내 의견을 수렴했으며, 지난 25일 포항시청에서 열린 경북도 시장·군수협의회(회장 정해걸 의성군수)에서도 이에대한 긍정적인 논의가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도는 또 자치단체간 인사교류는 1대1을 원칙으로 하되 자치단체장간 합의시 일방적인 전출·입도 가능토록 하고, 부단체장을 제외한 4·5급 공무원은 북부·남부·중서부·동부권 등 4개 권역별로 교류할 방침이다.
시·군 공무원의 10% 정도를 도 또는 타지역 출신이 유지되도록 노력하며 동일지역에 일정기간 장기근속한 자를 우선 교류하되, 인사교류 시기와 규모·방법 등 세부사항은 경북도인사교류협의회(위원장 행정부시장)에서 논의해 결정할 예정이다.
이같은 논의는 최근 청도부군수 임명을 둘러싼 도와 군간의 갈등에서 나타났듯 지방공무원법상 도지사가 인사교류를 권고할 수 있으나 자치법상 임용권은 시장·군수에게 있는 등 강제력이 없어 인사교류를 두고 불협화음이 노출된데 따른 것이다.
또한 시·군의 도 또는 타지역 출신 공무원 기피로 동일지역 장기근무에 따른 행정침체와 자치단체별 승진 소요연수 차이에 따른 불균형 발생, 시·군출신 공무원의 도 전입 기피 등의 문제점도 이같은 방안을 추진하게 된 요인이다.
현재 경북도내 시·군간 인사교류는 지난 1995년 142명에 이르던 것이 이듬해부터 38명으로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 최근 몇년간 4, 5명에 그쳤으며 그것도 시·군출신 공무원의 도 전입 기피로 시·군에 배치된 도 출신 위주로 인사교류가 이루어졌다.
민선단체장 출범 이후에는 5급 이상 교류인원도 급격히 줄어 1995년 220명이던 것이 현재는 64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도 출신 공무원의 시·군별 불균형도 심각해 4·5급의 경우 영주시는 9명으로 정원의 18.8%인 반면, 고령은 한명도 없으며, 김천·청송·영덕군은 1명에 불과하다.
남성대 경북도 자치행정과장은 "도가 시장·군수와의 협의를 통해 부단체장을 임명할 경우 해당 시·군은 4급(기획실장) 공무원을 도나 타시·군으로 전입시킬 수 있어 인사숨통이 틜 것"이라며, "지자체간 인사교류를 통한 행정활성화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조향래·임성남기자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