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운송하역노조 화물연대 부산지부가 무기한 운송거부에 돌입한 가운데 경기도 의왕 내륙컨테이너기지가 운송거부에 동참하고, 화물연대 울산지부도 14일 파업에 동참하는 등 항만과 내륙에 걸쳐 전면 파업이 확산되면서 부산항은 물론, 대구.울산.구미지역 제조 및 수출입업체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13일 오후 열렸던 정부와 화물연대간 노정협상마저 최종 결렬돼 정부의 협상력이 한계를 드러낸 가운데 경찰이 화물연대 부산지부 간부 등 7명에 대한 체포영장을 신청하는 한편 부산항과 시내 곳곳에 경찰을 배치, 검문과 경계를 강화하는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이와함께 정부 당국자는 이와함께 운송하역노조 모 국장이 "정부에서 진일보한 안을 제시해서 총회를 열 빌미를 주면 사태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한 정보에 따라 지도부와의 협상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14일 부산지방해양청에서 허성욱 해수부장관 주재로 부산지역 선사들과 화물터미널 운영사, 군과 경찰 관계자 등이 대책회의를 갖고 고속도로 일부 구간 통행료 인하 등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
아울러 운송업계의 그릇된 관행을 그간 방치해 두고, 급기야 지입차주들의 불만이 곪아 터지도록 방관한 정부 태도에 대한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또 운송체계는 개선하되 개인사업자인 화물차주가 파업 수단으로 길을 막아선데 대해선 적법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수출입업체들의 불만도 극에 달하고 있다.
화물연대 부산지부의 파업에 따른 피해는 하루가 다르게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14일 부산지방해양수산청에 따르면 국내 수출업체들이 입은 피해는 2억7천만달러에 달하며 조기 해결이 안될 경우 5억6천만달러로 늘어날 전망이다. 총파업에 따른 화물처리가 전면 중단될 경우 하루 1억9천만달러의 수출피해가 우려된다.
공권력 투입으로 부산항 봉쇄가 풀리면서 군 수송차량과 비화물연대 차량을 투입, 컨테이너 반출입량을 전날의 32%에서 14일 오전 현재 47.6%까자 끌어올렸지만 부두야적장 장치율은 85.6%로 전날보다 높아졌고 감만부두는 111.3%에 달하는 등 사태가 악화되고 있다.
게다가 하역을 기다리던 선사들이 아예 기항지를 아닌 외국 항만으로 옮기는 사태도 벌어져 환적중심항인 부산의 위상도 흔들리고 있다. 한진해운은 14일 부산항으로 입항하려던 바이칼세나토호의 기항지를 상하이항으로 변경했다. 부산항 전체 환적화물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차이나쉬핑도 모선을 아예 타 항만으로 돌릴 방침이며, 다른 외국선사들도 기항지 변경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울산항에선 대동통운(주), (주)국보, (주)KTC 등 3개사 60여대가 13일 오후 2시부터 운행중단에 들어갔다. 울산지역 컨테이너 물동량 중 70%를 처리하는 이들 업체의 파업이 조기 해결되지 않으면 막대한 피해가 우려된다. 이미 울산 ㅌ산업의 경우 화섬제품 9천여t, ㄷ유화는 폴리에틸렌 등 하루 1천200여t을 선적하지 못해 하루 수십억원의 수출 차질을 빚자 생산감축을 고려하는 실정이다.
한편 화물연대 부산지부의 지회장 7명 중 5명에 대한 체포영장이 13일 오전 발부된데 이어 부산 남부경찰서는 이번 파업을 주도한 남부지회 고모 지회장을 포함, 운전사 6명에 대해서도 13일 오후 체포영장을 신청했다.
부산 이상원. 유종철 기자
울산 윤종현 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