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북대구 우체국에서 캐나다에 있는 딸에게 집에서 사용하던 캠코더를 보냈다.
직원이 가격을 묻기에 캠코더를 구입할 당시 1백만원을 주고 샀다고 대답했다.
빠른 우편요금에 보험료를 포함해서 6만3천300원을 주고 물건을 부쳤다.
5~7일이면 도착한다던 우편물은 11일째가 되는 날 딸에게 배달이 됐는데 기가 막혔다.
250달러나 되는 세금이 부과되어 있었다.
한국에서 보낼 때 사용하던 물건에도 세금이 붙는다는 사실을 듣지 못했고 그 캠코더는 산지 3년이나 된 거라 실제로 현재 가격은 13분의1밖에 되지 않아 직원이 처음부터 그 말을 해줬더라면 세금을 그만큼 적게 낼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한마디로 세금 부과에 대한 어떤 설명도 듣지 못했다.
우체국에서는 물건 배달을 할 뿐이고 그런 문제는 세관의 관할이라고 했다.
또 보내는 사람이 그 나라의 정보를 알아서 보내야 한다면서 자신들은 전혀 책임질 부분이 아니라고 했다.
국내외 우편물을 취급하는 우체국이 개인보다 정보에 어둡다는 것은 이해가 안된다.
상세하게는 아니더라도 세금 부과에 대한 언급이라도 있었더라면, 보내기 전에 더 자세히 알아본 후 보내지 않았을 수도 있다.
우체국은 정말 책임이 없는건지 묻고 싶다.
ID 사라(대구시 침산3동)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