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중국의 力動性을 배워야

노무현 대통령이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위해 오는 7일 중국을 방문한다.

핵심 의제는 당연히 북핵 문제가 될 것이다. 북핵에 대해서는 양국 정부가 평화적 해결이라는 거의 일치된 목소리를 내왔기 때문에 협의 자체에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근 북한 핵문제에 관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성명을 채택하려던 미국의 움직임이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에 부닥쳐 무산된 직후여서 외교적으로 민감한 부분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동북아와 미국 러시아 등 관련국의 입장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핵문제에서 북한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중국과의 협력은 매우 중요하다.

이번 노 대통령의 방중 성과가 곧 참여 정부의 외교력 시험 무대로 여겨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북핵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바로 중국과의 경제 협력이다.

방중 일정 4일 중 3일이 경제계 시찰로 짜여진 것이 이를 입증한다.

특히 상하이(上海)와 푸둥(浦東) 금융개발지구 방문은 우리에게 엄청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이제 '동북아 중심'이 국정 과제인 참여 정부로서는 중국을 협력의 동반자이자 동시에 가장 치열한 경쟁 상대임을 알아야한다.

연간 7~8%에 달하는 눈부신 성장으로 세계 경제를 위협하는 중국과 '소득 2만 달러' 달성을 위해 재도약을 해야할 한국과는 경제적인 면에서 너무나 맥을 같이한다.

중국도 지금 우리와 마찬가지로 동북아의 중심이 되려고 노력하고 있다.

92년 국교 수립 당시만 해도 중국이 우리 경제를 따라 잡는데 20년이 걸릴 것이라고 예측했으나 지금은 5년, 아니 3년 이내에 우리가 추월당할 것이라는 논리가 지배적이다.

그런데도 우리는 지금 집단 이기주의의 '덫'에 빠져 성장 엔진을 멈추고 있는 실정이 아닌가.

동북아 중심은 서울, 도쿄, 오사카, 베이징, 상하이, 홍콩, 싱가포르 등으로 압축된다.

문제는 그 중에서 서울의 경쟁력이 그렇게 높지 않다는 데 있다.

노 대통령이 중국 방문에서 눈여겨 봐야할 대목이 바로 이런 점이다.

중국의 역동성을 배우고 이를 경계해야 한다.우리는 지난 90년대 후반 봇물 터진 대(對)중국 투자가 대부분 실패로 끝난 사실을 기억하고 있다.

우리의 성급함과 중국에 대한 무지(無知)의 결과였다.

그런데도 지금 한국은 여전히 '기업하기 힘든 나라'로 전락, 또다시 생산기반을 중국에 뺏길 판국이다.

한국 경제의 미래는 무엇인가, 노 대통령의 방중에 새삼 의미를 두는 것도 이 때문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