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가 추진하고 있는 '수강지원금 재직자훈련과정'이 IT교육에 편중돼 있어 이직이나 창업을 원하는 중장년층이나 주부들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수강지원금 재직자 훈련과정은 지난 2000년 2월부터 노동부가 재직자 중 이직 예정자나 창업을 원하는 사람, 50세 이상의 장년층 등을 상대로 스스로 직업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 각 지방노동청은 공공훈련기관으로부터 교육과정을 신청받아 간단한 승인절차를 거쳐 교육을 수료한 근로자에게 수강료의 80%를 환급해 주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과정이 인터넷.웹디자인.홈페이지제작 등 컴퓨터 관련 과목이어서 컴퓨터에 익숙치 않은 중장년층이나 주부들이 배우기에는 버거울 수밖에 없다.
교육기간도 2주~한달 정도여서 이수 후 이직이나 창업에 활용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직장인 김모(45)씨는 "석달 전 인터넷에서 '수강지원금 훈련과정' 글을 보고 막상 노동청을 찾은 결과 대부분의 교육과정이 컴퓨터 관련 교육이란 사실을 알게 됐다"며 "이직이나 창업을 원하는 중년 직장인들에게 필요한 기술교육 과정이 없어서 실망했다"고 말했다.
아파트 관리사무소에서 일하고 있는 배모(41.여)씨도 "수강지원금 훈련과정을 알아봤지만 나이 든 저소득층 근로자들을 위한 도배.봉제.공인중개사 등 곧바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교육은 없고 대부분이 형식적이고 기본적인 IT교육"이라며 "10년째 고용보험을 꼬박 납입했는데 막상 실질적인 혜택은 못받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지방노동청과 대구남부지방노동청이 승인한 수강지원금 훈련과정은 6월 20일 현재 9곳 기관에 25개 과정이다.
그러나 이 가운데 메이크업 코디네이터.토탈미용아티스트.실내디자인 등 3과정을 제외하고는 모두 정보통신과 컴퓨터관련 교육이다.
이에 대해 대구지방노동청 관리과 능력개발계 김태구 계장은 "교육과정에 대한 선별기준이 없고 각 교육기관에서 자율적으로 신청하는 과정에 대해서만 승인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컴퓨터 수요가 많다 보니 대부분이 그런 과목으로 신청을 한다"고 말했다.
한국노동연구소 박의경 연구원은 "훈련 과정이 다양한 기술과 교육을 가르치는 형태로 바뀌어야 한다"며 "이를 통해 훈련 희망자들이 자신에 맞는 교육을 선택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창훈기자 apolonj@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