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확산되는 '김운용 책임론'

우선 부끄럽고 황당하다.

2010년 겨울올림픽의 평창유치 실패에 따른 '김운용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 책임론'의 진위여부와 관계없이 국제적으로 파장이 일고 있고 공방이 정치권은 물론 정부내 논란까지 증폭되고 있기 때문이다.

알다시피 '김운용 책임론'은 유치활동을 벌였던 한나라당 김용학 의원 등에 의해 제기됐다.

김용학 의원의 주장 핵심은 김운용 위원의 행적이 평창유치에 오히려 걸림돌이 됐다는 것이다.

한나라당 의원 총회때 이런 주장에 이어 김 의원은 라디오에도 출연, "김운용 위원이 평창은 준비가 덜 됐으며 2014년에나 가능하다는 말을 하고 다녔다는 것은 공지의 사실이다"고 거듭 주장했다.

이같은 발언의 배경은 김운용 위원이 IOC 부위원장 당선을 염두에 둔 평창유치와 등거리 처신을 문제삼은 것으로 보인다.

'평창유치 실패 논란'은 규명돼야 한다.

청와대가 경위파악에 나서고 있어 어느정도 윤곽은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정부관계자의 말대로 김 위원이 투표당일 프리젠테이션 연설에서 불출마 선언과 평창 1차투표에서 후보지로 선정 간의 상관관계도 주목의 대상이다.

불출마가 선정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 김운용 위원의 행동이 비난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

개인의 명예가 국가이익을 앞설 수는 없는 일이 아닌가. 김 위원은 부인하고 있다.

평창유치 실패 책임에 대한 희생양 여지 등 정확한 경위를 파악해야 개인의 명예에 흠집 배제다.

김운용 IOC위원의 행적에 또다른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아들의 구금과 관련해 정부부처에 압력을 행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논란이 소모전으로, 장기화되면 우리 모두가 타격을 입게 된다.

긍정적인 이미지를 세계 각국에 각인한 평창이 이번 사건으로 오는 2014년 개최지 선정에 불리한 요인이 될 수도 있다.

유치에 지고 나서는 자기들끼리 소모적인 논쟁하는 꼴로 비쳐질까 두렵다.

평창이 다음 올림픽 유치에 유리한 고지 선점이 무산되지 않도록 빠른 노력을 바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