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책

▲만주아리랑(류연산 지음/돌베개 펴냄)

'만주'의 역사에는 예·맥·고구려·옥저와 말갈과 만주족 등 수많은 민족의 흥망이 녹아 있다.

현재 1억명이 살고 있는 만주땅. 그곳에는 일제 침략과 배고픔의 아픔을 등지고 만주로 찾아든 190여만명의 '조선족'이 살고 있다.

'만주아리랑'(돌베개)은 조선족 향토사학가로 명성을 날리고 있는 류연산씨가 발로 써낸 100년 조선족의 이민사를 담고 있다.

우리에게 만주는 고구려나 발해가 정복했던 우리땅의 잃어버린 향수로 여겨진다.

그리고 가곡 '선구자'의 이미지를 떠올린다.

그러나 그곳에는 한민족의 거친 호흡과 약동하는 삶의 모습이 녹아 있는 땅이다.

류씨는 '만주 아리랑'을 통해 회령에서 삼합진을 거쳐 지신과 용정에 이르는 험난한 이주로를 따라 거친 자연환경을 극복하고 삶의 터전을 일군 개척민의 발자취를 고스란히 복원하고 있다.

또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중국해방전쟁과 문화대혁명 시절 등 혼란한 정치사에 희생되었던 조선족의 역사를 훑어 내리고 그들이 소중하게 보전해온 결혼·장례·음식 문화를 담고 있다.

특히 만주 항일 독립운동가의 행적과 자손들의 삶, 그리고 박정희 전 대통령의 만주에서의 친일행각과 가곡 '선구자'의 왜곡 과정을 생생하게 서술하고 있다.

류씨는 "서서히 잊혀져가는 흔적을 남기는 것이 조선족과 한민족의 역사를 바로잡는 일"이라며 책의 서술 동기를 밝히고 있다.

이재협기자 ljh2000@imaeil.com

▲화와 석이 만나는 자연사여행(윤철수 등 지음/동아문화사 펴냄)

화석은 수만년, 수억년전 역사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자연사 박물관이다.

그리고 우리가 살고 있는 주변과 땅속에 아직 살아 숨쉬고 있다.

'화와 석이 만나는 자연사 여행'(동아 문화사)은 화석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을 담고 있는 책이다.

윤철수(대구과학고), 이승수(우산중학교), 백광석(전 경남과학고)씨 등 3명의 교사가 교실에서만 접할 수 있던 재미있는 화석 이야기를 책으로 펴낸 것. 이책은 제목 그대로 화석을 찾아 떠나는 여행을 소재로 한다.

가까이는 대구 신천과 수성구 욱수천의 공룡발자국부터 경북 봉화군 재사면의 쥐라기 화석지와 강원도 영월의 두족류 화석산지 등 전국 120여 곳의 화석지를 자세한 설명과 함께 담고 있다.

물론 화석 여행에 앞서 갖추어야 할 장비와 채집 방법, 그리고 사후 처리법까지 일반인들이 알기 쉽게 컬러 사진과 곁들여 제시한다.

또 기본적으로 알아야할 공룡과 익룡, 삼엽충과 두족류 등 화석 생물의 기본 구조와 명칭도 소개하고 있다.

특이한 것은 가족 단위의 여행에 맞도록 화석지 주변 도로 상황과 쉴만한 명소까지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는 점. 저자들은 "영화나 박물관 등을 통해 화석을 아는 사람은 많아도 야외에서 직접 본 사람은 의외로 드물다"며 "일반인들이 쉽게 화석에 접근하도록 하기 위해 책을 펴냈다"고 밝히고 있다.

▲교육법과 교육기본권(신현직 지음/도서출판 청년사 펴냄)

계명대 법학과 교수로 재직하다 어느날 갑자기 세상을 등진 고 신현직 교수의 2주기 추모식을 맞아 그동안 그가 남긴 글들을 모아 펴낸 유고집(도서출판 청년사).

저자는 제1부 교육기본법의 정립과 교육법, 제2부 교육제도와 교육자치로 나눠 교육과 관련한 세부적 사항들을 살펴보고 부록에는 교육관련법 제·개정 연혁과 저자의 교육법 관련 논문목록을 싣고 있다.

1부에서는 교육기본법의 정립에 대한 문제들과 교육관련법의 개정방향 공·사교육의 이념과 법적 원리, 교육과 대학의 자치를 논하고 있다.

2부에서는 교원의 지위와 권리를 비롯, 학생과 학부모의 권리를 검토하고 교육자치와 사립학교법 및 교육재정을 거론하고 있다.

저자는 대학박사 논문도 '교육기본권에 관한 연구'로 할 만큼 우리나라 교육에 대한 관심을 보였었다.

또 교육에 관한 기본적 인권을 단순히 교육을 받을 권리라는 조문적, 형식적 해석을 넘어 헌법체계와 교육에 관한 조리(條理)에 입각, 헌법상의 교육기본권으로 정립하게 바랐다.

경북대 교육학과 김민남 교수는 "이 책은 강자의 오만을 어떤 일이 있어도 막아야 한다는 그의 역사의식의 표현"이라고 평가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