챩 모의고사에서 언어영역 성적이 항상 100점(120점 만점) 전후여서 고민하는 재수생입니다.
학습량도 많고 문제집도 많이 풀어보는 편인데 점수가 오르지 않습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챪 수능 언어 시험에서는 어휘력, 사실적 사고력, 추리 상상력, 비판적 사고력, 논리적 사고력 등을 종합적으로 다루는 문제가 출제됩니다.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분야별 학습 주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어휘력은 주어진 글을 이해하는데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이므로 국어사전이나 많은 독서를 통하여 향상시켜야 합니다.
사전적 의미뿐만 아니라 문맥 속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합니다.
사실적 사고력은 글을 하나의 주어진 사실로 보고, 그것을 사실 그대로 올바르게 이해하거나 다른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 능력은 지식을 자기 것으로 축적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이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정보의 내용 요약, 정보와 정보뿐만 아니라 문장과 문장 간의 연결 관계, 글의 서술 관계 등을 파악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추리적 상상력은 글 속의 정보를 바탕으로 필자가 구체적으로 말하지 않은 내용을 도출해내는 능력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지문을 읽으면서 어떤 사실에 근거한 새로운 사실의 추리, 주어진 사실을 다른 비슷한 상황에 적용하기, 저자가 대상을 바라보는 관점 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비판적 사고력은 언어를 통한 표현과 이해의 과정에서 사용되는 능력입니다.
따라서 논리적 타당성, 내용과 표현 및 관점의 적절성, 글의 가치관과 사회적 태도 등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는 독서를 해야 합니다.
질문한 학생은 글을 너무 분석적으로 읽지 않나 싶습니다.
수능 문제는 앞서 언급한 모든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적용됩니다.
따라서 글을 읽고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언어 감각을 길러야 합니다.
문제 풀이 위주의 상식적이고 반복적인 양 위주의 학습에서 탈피하여, 글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언어 감각을 길러야 합니다.
문제 풀이 하듯이 딱딱하게 글을 대하지 말고, 진정으로 그 내용에 공감하며 읽을 때 언어 감각은 배양됩니다.
방학 동안 한 주에 한 권 정도씩 책을 읽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1, 2학년 학생들은 방학 기간에 독서를 통해 독해력을 배양해야 합니다.
끝으로 국어 사전을 늘 곁에 두고 활용하길 권합니다.
국어 사전은 언어 영역 대비를 위한 최고의 참고서이기 때문입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