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신주류가 1일 사실상 개혁신당 포기를 선언하면서 신당 논의가 개혁보다는 통합쪽에 초점이 맞춰졌다.
그러나 사태해결을 위한 임시전당대회 소집에 대한 합의가 좀처럼 이뤄지지 않고 있고 각 분파간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신당 출범은 당분간 논란만 거듭할 전망이다.
신당추진모임 소속 80명의 원내외 신주류측 인사는 1일 전체모임을 갖고 △민주당 해체 불가 △인적청산 불가 △이념정당 불가 등 이른바 '3대 불가' 원칙을 제시, 그동안 구주류의 반발을 샀던 주장을 사실상 대부분 철회했다.
지난달 말에는 당 진로 조정회의를 통해 '임시 전당대회를 개최하자'며 구주류측 주장을 대부분 수용했다.
상임고문이 참석하는 연석회의에서는 인적청산 주장 철회와 함께 민주당 법통 계승에 합의, 정치적 입지가 크게 위축됐다.
특히 신당론자들 중 일부 핵심인사들은 통합신당 구성에 대한 지지를 공개적으로 표명해 개혁신당 가능성을 더욱 높여 주는 등 서로 제갈길을 걷고 있는 인상이 짙다.
당밖 신당 추진기구 모임의 대표인 김원기 고문이 '개혁인사들만 싸워 내년 총선을 승리하기가 어렵다'고 말한 것이나 정동영 의원이 '당 해체론을 철회하겠다'고 밝힌 점은 개혁신당 구성 작업이 갈수록 꼬이고 있음을 방증하고 있다.
한때 신주류로 분리됐던 정대철 대표의 굿모닝게이트 검찰수사와 노무현 대통령이 기회가 날때마다 주장하고 있는 당정분리 발언도 개혁신당론자들의 힘을 빠지게 하고 있다.
반대로 구주류측은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상황이 유리하게 돌아가자 한달전까지만 해도 '전당대회 결판'을 주장하던 입장을 바꾸고 신주류측 음모론 재확산에 나서는 등 '배짱'을 부리는 듯한 인상이다.
박상천 최고위원은 "개혁신당 창당을 위한 당외조직이 이미 만들어진만큼 통합신당과 무관하게 개혁신당이 탄생할 것"이라며 신당에 응하지 않을 것임을 예고했다.
하지만 신당 외곽지원연대의 비판의 목소리가 거세지면서 개혁신당 논의가 되살아날 불씨는 여전히 남아있다.
신주류측이 뜸했던 당밖 신당논의를 다시 활성화시키고 최근에는 오후 정례회동에 이어 이례적인 심야회동도 수시로 여는 등 대책마련에 적극적이기 때문이다.
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