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왔다가 오늘 가는
하루살이의 생명도, 위대하게 왔으리.
길바닥에 떨어져 뒹구는 나무 이파리도
신비롭게 왔다가 가느니
내 작은 한 톨의 쌀로 몸 받아 올 때
하늘과 땅이 있어야 했고
해와 달 비, 바람이 있어야 했다
농부의 얼굴을 뙤약볕에 그을리게 했고
애간장 녹이게 했고
손마디 굵어지도록 땀 흘리게 했다.
허홍구 '사람의 밥이 되어'부분
허홍구 시인은 식당업을 하는 사람들의 모임인 한국 요식업협회에서 일하고 있다.
우리가 늘 대하면서도 그 존재가치를 잘 모르고 있는 물과 공기 등과 같이 음식에 대해서도 그 고마움을 못 느끼는 것이 사실이다.
배고픔을 절실히 느낀 사람들은 예외이지만 요즈음의 젊은이들은 음식에 대해 그 기능성 이상의 것은 생각하려고 하지 않는 것 같아 안타깝다 비유와 표현들이 좀 투박하지만 사물에 대한 애정이 느껴지는 시이다.
서정윤(시인·영신고 교사)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