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진강이 붉게 물들고 있었다.
저 멀리 석양이 물결과 고깃배에 부딪혀 수많은 별빛이 되어 흩어졌다.
눈이 부셨다.
강가에서 바라본 남해는 파도만 출렁일 뿐 끝이 보이지 않았다.
석양과 파도는 수천, 수만년 동안 저렇게 변함없이 떠오르고 물결쳐 왔을 터. 그러나 인류의 역사는 달랐다.
영토의 확장과 기술문명의 진보는 인간과 그 삶의 모습을 변함없이 그대로 놔 두지 않았다.
역사는 끊임없이 변화·발전해왔지만 그것은 항상 피와 파괴의 대가였다.
섬진강과 남쪽 바다를 둘러싼 삶의 모습도 그랬다.
경남 하동군 금성면 갈사리. 한반도 남단의 꼭 중간 지점이다.
전북 진안군과 장수군의 경계인 팔공산에서 발원한 섬진강이 500여리(212.3km)를 달려 바다와 만나는 곳. 여기서 강물은 길목에 맞닿은 섬, '마도'의 양쪽을 에돌아 마침내 남쪽 바다와 한몸으로 어울어졌다.
서쪽으로 광양제철소, 동쪽으로 남해대교, 그리고 앞으로는 남해섬이 버티고 있었다.
갈사리 '나팔'마을 하중원(42)씨는 "8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농어, 도다리, 전어가 그물에 촘촘히 걸렸고, 김 양식으로 수입도 꽤 짭짤했다"고 말했다.
광양제철소가 들어선 뒤 김 양식장은 거의 사라졌고, 뱃일도 시원찮다는 것. 때문에 고기잡이 대신 외지인을 상대로 식당이나 횟집, 숙박업소를 운영하는 주민이 늘고 있다고 했다.
문명의 발달이 바꿔 놓은 풍경이었다.
하동을 중심으로 한 섬진강 하구는 피의 역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대가야와 백제의 다툼, 왜(倭)와의 교역이 빈번했던 지역.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왜구의 출몰이 많아 전쟁이 끊이지 않았고, 해방 후에는 빨치산의 주요 거점이 되기도 했다.
고려 우왕때, 왜구가 하동쪽에서 강을 건너 광양쪽으로 침입을 시도했다.
그 때 광양 진상면에 있던 두꺼비 수십만 마리가 8km 떨어진 다압면 나루터로 몰려가 울부짖자 왜구들이 놀라 도망쳤다는 얘기도 전해진다.
두꺼비 '섬(蟾)'자의 섬진강으로 불린 것은 이 때부터였다는 것. 이전에는 고운 모래가 많아 '다사강(多沙江)'이라고도 했다
삼국시대에도 섬진강 하구, 하동지역(당시 대사)은 바다로 드나드는 주요 교통로였다.
1천500여년 전, 대가야는 이 하동을 장악한 상태였다.
대가야 하지왕의 명을 받은 사신 일행이 479년 섬진강 하구를 통해 바닷길로 나선 것이다.
이들은 배를 타고 중국 남제에 들어가 '대가야가 가야를 대표하는 왕국'임을 국제적으로 공인받았다.
지금으로 견준다면 한 국가가 UN에 가입한 셈이었다.
대가야가 이 섬진강 루트를 활용할 수 있었던 것은 당시 백두대간 너머 전북 남원까지 세력권을 확장해 놓았기 때문이다.
대가야의 전신, 가라국은 경남 합천 야로·가야면 일대 철산지를 확보하고 농업생산력을 높인 뒤 400년대 중·후반부터 힘을 모아 서쪽으로 서서히 세력을 넓혀갔다.
비슷한 시기, 고구려는 백제의 수도 한성을 함락(475년)시키며 위세를 떨쳤고, 백제는 수도를 웅진으로 옮기는 등 한동안 혼란에 휩싸였다.
신라는 433년 나제동맹을 맺어 백제의 위협을 극복하고 성장의 기틀을 마련했으나 고구려의 간섭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주 다툼을 벌였다.
가라국으로서는 백제, 신라의 견제를 크게 받지 않으면서 교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400년대 후반, 가라국은 경북 고령에서 출발, 야천(안림천)을 따라 황강 중류의 길목까지 들어가 합천 봉산지역을 아울렀다.
봉산지역에는 당시 강력한 토착세력이 없어 그야말로 '무혈입성'이었다.
이어 황강을 따라 상류쪽 경남 거창을 세력권에 넣었다.
이 시기에 합천 봉산면 송림리 반계제고분군과 거창 남하면 무릉리고분군에서 목긴 항아리, 굽다리 접시, 그릇받침 등 대가야 토기만 출토된 점이 이를 방증한다.
또 남강 상류의 경남 함양까지 그 여세를 몰고 갔다.
함양읍 백천리고분군에서는 무덤 축조방식이나 출토 유물이 대가야 양식 일색이었다.
백두대간 남덕유산(1507m)과 백운산(1278m) 사이에 자리한 '육십령(734m)'. 함양 서상면과 전북 장수 장계면 등 영·호남을 잇는 고개. 삼국시대 이후 도적떼가 들끓어 산 아래 주막에서 족히 60명은 모여야, 그것도 죽창과 몽둥이를 들고서야 고개를 넘을 수 있었다는 것. 조정자(63·여·함양 서상면)씨는 "예전과 많이 달라졌다.
대전-통영간 고속국도가 뚫렸고, 백두대간을 종주하는 등산객도 부쩍 늘었다"고 말했다.
백두대간을 따라 남쪽으로 내달렸다.
연비산(843m)과 삼봉산(1천187m) 사이 '팔랑치(513m)'가 역시 영·호남의 함양읍과 전북 남원을 맞대고 있었다.
고령에서 함양으로 치고 나간 가라국은 급기야 이 백두대간의 두 고개까지 넘봤다.
백제가 고구려와 접전을 벌이느라 동남쪽에 눈돌릴 겨를이 없는 틈을 탄 것이었다.
결국 함양에서 육십령을 넘어 전북 장수로, 팔랑치를 넘어 남원으로 뻗어나갔다.
500년대에는 장수에서 나아가 전북 임실과 진안에도 영향력을 미쳤다.
팔랑치를 넘은 가라국 세력은 '아영들'과 '운봉고원'을 기반으로 한 남원 아영면 두락리, 월산리의 토착세력과 교역 등 밀접한 관계를 가졌다.
그 결과 이 지역에 고령 양식의 대규모 무덤과 유물을 남겼다.
이후 남원의 고지대인 '지재'나 '여원치'를 통과, 섬진강을 따라 전남 구례로 향해 나아갔다.
가라국이 중국과의 교역루트를 완성한 단계였다.
나라이름을 스스로 '대가야'로 천명하는 시기이기도 했다.
이처럼 400년대 후반 대가야는 고령-합천(봉산세력)-거창-함양-남원(운봉세력)-구례-섬진강-하동을 거쳐 바다로 나갔다.
이 길은 중국 남제 및 왜와의 주요 교역루트였다.
그러나 대가야는 여기에 머물지 않았다.
500년대로 접어들면서 함양에서 백두대간을 넘지 않고 곧바로 남쪽으로 나가는 산청-진주-하동 루트는 물론 합천(삼가세력)-진주-하동 루트, 합천(옥전세력)-의령-남강-진주-고성 루트 등도 뚫었을 것으로 유물·유적이 말해주고 있다.
김병구기자 kbg@imaeil.com
고령·김인탁기자 kit@imaeil.com
사진·안상호기자 shahn@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