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문학상 수상자이기도 한 미국 극작가 유진 오닐의 1924년 작품 '느릅나무 밑의 욕망'이 로스앤젤레스에서 무대에 올랐을 때 외설 시비로 곤욕을 치렀다.
이 연극에 나오는 근친상간과 영아 살해 등의 충격적인 내용 탓으로 연출자.배우들마저 모두 재판을 받았다.
하지만 배심원들은 '예술'이라는 이유로 무죄 평결을 내렸다.
예부터 지금까지 동서를 막론하고 어디까지가 '예술'이며, 무엇부터가 '외설'인가 하는 논란은 그 끝이 보이지 않는 '미로'와 같다.
예술과 외설의 한계는 시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시각 차이에서도 빚어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외설 시비가 끊이지 않지만, 외설과 예술은 상충되는 문제라기보다 양립될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어떤 작가에게도 작품 의도와 창작(표현)의 자유가 중요하며, 문학은 언제나 통념을 깨고 기존의 가치에 대해 다양한 방법으로 질문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회 보호'에 더 무게를 실을 경우 그 사정은 달라지게 마련이다.
예술성에 대한 잣대가 외설 쪽으로 기울 수도 있다 .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마광수 교수가 두 번째 탈락 3년여만에 복직하게 된다고 한다.
최근 교내외의 인사들이 강단 복귀를 권하고, 과에서도 받아들여져 새 학기부터 전공과목인 '문예사조' 한 강좌만 우선 맡게 되는 모양이다.
아직 마음이 불편하고 조심스러우며 두렵다고 심경을 털어놓은 그는 다시 만나는 학생들에게는 "힘들더라도 '자유 정신'만은 끝까지 유지"하겠다니 지켜볼 일이다.
◆1992년 소설 '즐거운 사라'를 발표, 음란물 제조 반포 혐의로 구속돼 징역 8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고 풀려났던 마 교수는 학교 규정에 따라 처음 교수직을 내놓았다.
그 뒤 6년 만에 사면 복권돼 복직했지만, 2000년 6월 재임용 심사에서 '논문 실적이 부실하다'는 이유로 부적격 판정을 받게 됐다.
논란 끝에 결국 휴직계를 낸 뒤 두 번째로 강단을 떠나게 됐다.
복직 시도에 좌절한 그는 1년 전엔 사표까지 냈으나 수리는 되지 않은 상태였었다.
◆'즐거운 사라'의 단죄나 논문 실적을 강조한 재임용 제도는 우리 안의 검열이며, 일종의 폭력일 수도 있다.
그런 의미에서 마 교수는 차이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획일주의의 희생양'이라는 시각에 일리가 없지 않다.
자신만이 정의이고 기준이며 도덕적으로 무결하다고 생각하는 건 일종의 폭력에 다름 아니다.
마 교수가 반드시 옳지는 않았다고 하더라도 차제에 생각해볼 문제들이 적지 않다.
음란과 외설의 기준은 사회 통념에 따른다고 돼 있으나 그 통념도 늘 변하므로 근시안적인 발상만은 자제돼야 하리라이태수 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