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사전에서 평화라는 단어를 찾아 보았다.
평온하고 화목한 상태, 전쟁이 없이 세상이 편안한 상태라고 나와 있었다.
정말 평화라는 단어의 뜻처럼 그런 세상만 있다면 이 세상은 얼마나 행복할 것인가.
얼마전 이라크와 미국이 무시무시한 전쟁을 하였다
그 전쟁중에서 집을 잃은 사람도, 부모를 잃은 사람도, 자식을 잃은 사람도 있었지만 그 사람들 대부분이 살아갈 희망을 잃어가고 있다는 것이 더 큰 문제라는 생각이 들었다.
더 이상 미래가 없는 세상. 전쟁중에서 다행히 살아남은 사람들도 평화로운 세상을 꿈꾸기에는 너무 많은 아픔과 고통을 겪었을 것이다.
모든 사람들이 평화롭고 화목한 세상. 그 평화로운 세상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사람들의 끝없는 욕심속에서 평화로운 세상은 차츰 차츰 그 모습을 감추고 있는 것 같아 가슴이 아프다.
어머니께서 권하여 주신 '평화는 어디에서 오나요'라는 책을 한 장 한 장 읽으면서 나는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아주 큰 힘도, 많은 돈도, 커다란 권력도 필요치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평화는 바로 남을 위한 관심과 사랑속에 담긴 우리들의 마음가짐속에서 서서히 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친구들에게 놀림을 받는 아이를 따뜻한 마음으로 감싸 안아주는 칼 선생님도, 지구 반대편에서 가난하게 굶주려가고 있는 피부색이 다른 아이들을 위해 눈물을 흘리는 어린 디륵의 예쁜 마음도, 앞을 못보고, 척추를 사용하지 못하는 외로운 할머니와 말썽꾸러기 쟈샤의 아름다운 사랑도 이 세상을 평화롭게 만들어가는 밑거름이 되어가고 있다.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그 거름이 싹을 틔우고, 든든하고, 믿음직한 줄기로 자라나 우리는 이 지구를 아름답고 평화로운 세상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아직도 힘과 권력으로 세계를 지배하려는 사람들에게 나는 이 책을 보여주고 싶다.
이 세상은 힘과 권력이 아닌 사랑으로도 얼마든지 끝없이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을 쟈샤와 디륵의 아름다운 마음씨를 통해서 알 수 있게 되었다.
지구의 어느 한쪽에서 굶주려 뼈만 남은 아이들의 모습을 텔레비전에서 많이 보았다.
우리와 피부색도 다르고, 쓰는 언어도 다르지만 그 아이들을 위해서 작은 관심과 사랑을 나누고 싶다.
평화는 바로 그 작은 사랑과 관심속에서 조금씩 조금씩 희망의 싹을 틔우고 있다는 것을 '평화는 어디에서 오나요'를 만나고부터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송영실(대구월배초 5년)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