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가위 문화행사 주말부터 '풍성'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추석연휴를 맞아 지역에서는 다양한 전통 민속놀이 한마당과 공연들이 펼쳐져 한가위 분위기를 돋운다.

▨문화재청(042-481-4964)=13일 오후3시 대구박물관 강당에서 구례향제줄풍류 공연을 갖는 것을 비롯, 전국에 27개종목에 34차례의 중요 무형문화재 공연을 갖는다.

줄풍류는 전남 구례지방에 전승되는 기악곡으로 줄풍류에 편성되는 악기는 거문고와 가야금.양금.세피리.대금.해금.단소.장고가 있다.

문화재청은 또 13일 오후6시 경북 고령군 쌍림면 월막리 대가야문화학교에서 고성오광대 공연을 갖고 13, 14일 오후3시 안동 풍천면 하회리 전수교육관 놀이마당에서 하회별신굿탈놀이를, 7일에는 문경새재 영화촬영장에서 예천통명농요를 각각 공연한다.

고성오광대는 서민생활의 애환을 담은 것으로 남부지역(낙동강 서부)의 탈춤을 지칭하며 문둥이춤과 오광대춤.중춤.비비춤.제밀주춤의 다섯 마당으로 놀이가 이뤄진다.

안동에서는 10년에 한번씩 섣달 보름날이나 특별한 일이 있을 때 열리는 하회별신굿탈놀이는 굿과 더불어 성황님을 즐겁게 해주려고 열린 탈놀이다.

각시의 무동마당과 주지마당.백정마당.할미마당.파계승마당.양반과 선비마당.혼례마당.신방마당의 8마당으로 구성돼 있다.

경북 예천군 예천읍 통명리의 농민들이 모심기를 하며 부른 예천 통명농요는 힘겨운 노동의 고달픔을 달래기 위한 농요로 곡과 가사의 내용이 향토적이다.

▨박물관=국립 대구박물관과 경주박물관도 다채로운 민속 세시풍속으로 추석연휴를 준비하고 있다.

대구박물관은 오는 9일부터 12일까지 4일간 떡메치기 체험행사를 갖고 옛 선조들의 전통문화를 직접 즐기도록 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기간 중 매일 색송편 만들기를 준비하고 9일과 11일에는 인절미만들기, 10일과 12일에는 절편만들기로 전통식품 떡 만드기 체험과 시식으로 우리 음식에 대한 사랑을 일깨울 계획이다.

이에 곁들여 제기차기와 팽이돌리기, 투호던지기 등 전통민 속놀이 한마당과 토기만들기, 탁본.고인쇄만들기 코너와 같은 문화체험공간도 마련된다(053-768-6051).

또 경주박물관은 10일부터 12일까지 한복을 입은 관람객이나 양띠 해에 태어난 입장객에 대해서는 무료로 박물관을 관람토록 하고 윷놀이와 제기차기, 투호놀이, 널뛰기 등의 민속놀이 코너를 마련하고 12일 오후에는 송편빚기 등의 전통문화 체험의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054-740-7517).

▨경주 세계문화엑스포 공원=풍성한 한가위 행사들이 8일부터 16일까지 펼쳐진다.

현대적인 감각과 공중곡예를 가미한 '신 널뛰기공연'이 8일부터 14일까지 공원 전승의 마당에서 열린다.

11일부터 13일까지는 난장트기공연장에서 '우리춤 우리 가락'이 흥겹게 벌어지고 처녀총각.살풀이.금강산홍춤 등 무용과 강강수월래.태평가 등의민요 및 판소리 흥보가, 가야금 병창, 날뫼북춤, 강령탈춤 등이 공연된다.

한국민속촌 줄광대인 홍기철씨와 양평 창대사물놀이패가 신명나는 풍물과 함께 아슬아슬한 전통 줄타기 공연도 11일부터 선보이고 12일 오후2시에는 처용마당에서 외국인 노래자랑도 벌어진다.

이밖에 전통무예단 시범과 전통혼례 시연 및 과천 무용단 공연, 기획전시 누비전 등 다양한 추석맞이 민속문화공간이 연출된다(054-740-3071).

▨기타=대구관광정보센터는 추석을 맞아 10일부터 14일까지 가족영화 5편을 상영한다.

매일 오후2시부터 센터 영상실에서 무료 상영되는 영화는 △10일 트리플 엑스 △11일 로마의 휴일 △12일 좋은사람있으면 소개시켜줘 △13일 슈렉 △14일 이웃집 토토로 등이다.

또 대구관광정보센터는 10일부터 주차장에 투호 제기차기 윷놀이 등을 갖춰 놓고 가족, 중고생 외국관광객 등이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053)627-8900.

또 영풍문고 대구점은 추석연휴를 전후해 6일, 13일, 20일 등 매주 토요일 오후 6시에 삼성금융프라자 정문에서 록 페스티벌을 연다.

공연때마다 영남대 록 밴드가 고정 출연하고 △6일 블루 웨이브, 더 위 △13일 에코스 고스모스 △20일 블루 웨이브, 더 위 등 국내 록밴드가 나온다.

정인열기자 oxen@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