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기후의 아열대화가 두드러지고 있어 정부 차원의 관심과 대책이 절실한 실정이다.
올 여름 우리나라에서는 열대지방의 우기를 방불케 할 정도로 비가 자주, 그리고 많이 내렸다.
기상청 발표에 의하면 올해 6~9월의 전국 6곳의 평균 강수일은 이틀에 한 번 꼴인 47.2일이었다고 한다.
지난 30년 중 최대다.
강수량도 평년보다 300㎜ 많은 1천㎜에 달해 3위를 기록했다.
100년 전과 비교할 때도 30℃ 이상의 날씨가 5, 6배나 많아졌고, 겨울이 한 달 이상 줄어든 반면 봄과 여름은 그만큼 길어졌다.
생태계에도 큰 변화가 일어나 침엽수가 줄어든 대신 활엽수가 많아지고, 바다에서는 한류성 어종이 난류성 어종으로 대체되고 있다.
또 철새와 텃새의 구분이 없어지는 등 난해한 변화들이 잇따르고 있다.
현재 추세대로 한반도의 온난화가 진행될 경우 2100년경에는 아열대림의 확연한 증가와 남부지방 일부의 사막화 현상이 예측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산사태, 홍수, 해수면 상승, 말라리아.콜레라.식중독 등 아열대성 전염병의 창궐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후 변화가 온실가스의 증가, 삼림 감소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문제는 이런 현상이 우리나라만의 대책으로 해결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국제사회에서는 지난 1994년 186개국이 참여하는 기후변화협약을 발효시켰으나 강제성이 없어 실효를 못 봤다.
또 2001년 '온실가스를 5% 이상 감축시키는' 교토의정서를 마련했으나 미국, 캐나다, 호주 등 일부 선진국들의 미온적 대처로 이행이 지연되고 있다.
국제적인 기후변화 예방조치와 별개로 우리 정부는 국내 차원의 다면적 대책을 조기화 하지 않으면 안 될 상황이다.
저탄소 산업체제 추진 등 국내 산업의 기후친화성을 높이고, 대기환경 보존에 대한 대 국민 홍보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또 산사태, 홍수, 해수면 상승 등 자연재해와 아열대성 질병 통제, 생태계 안정을 도모할 종합 전담기구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생각된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