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전후 처리를 위한 유엔 다국적군 파병과 관련하여 미국이 한국에 치안 유지군 파견을 요청해와 또 한 차례 파란이 예상되고 있다.
문제가 심각한 것은 이번 추가파병이 공병이나 의료 지원단이 아니라 소요지역의 치안 유지를 맡게될 전투병단이라는 점이다.
우리 군의 인명손실을 각오해야 하는 파병인 것이다.
지난 봄 공병.의료단 파견 때도 국내서는 심각한 찬반갈등을 겪었다.
이번 파병은 그때 이상의 충돌을 불러올 것으로 보여 또 다른 사회혼란이 걱정된다.
정부는 이번 파병 요구로 진퇴양난의 입장에 놓여 있다.
미국의 이라크 침공으로 빚어진 새로운 분쟁에 방패막이로 나선다는 것이 국민 동의를 어렵게 하는 부분이다.
국제사회의 분위기도 미국 에 좋지 않다.
그러나 안보동맹국으로서의 의무나 북한 핵 사태에서의 협조관계 등을 고려하면 마냥 모른 척 할 수도 없는 처지다.
우리가 누리는 안보이익을 보상해줘야 할 부담이 남아 있는 것이다.
정부 관계자들은 결국 어떤 형태로든 파병 쪽으로 결론을 내릴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것이 기본 입장이라면 대국민 설득이 가장 큰 난관이다.
국민들이 파병을 수긍할 수 있는 여러 전제조건들을 마련하는 숙고가 필요하다.
국회 일각에서 거론된 것처럼 파병이 평화유지활동(PKO)에 필요하다는 유엔 논의를 통해 이뤄진다면 어느 정도 명분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미국의 요구에 응하는 방식이 아니라, 세계사회의 의사결정에 좇는 형식을 취하는 모양새가 바람직하다.
파병이 냉엄한 국제사회의 현실 논리에 맞춰 들어가는 국익추구 행동이라면 그에 걸맞은 한국 측의 이익도 제시돼야 할 것이다.
그래야 대국민 설득이 쉬워진다.
주한미군 재배치나 용산기지 이전, 주한미국주둔군협정과 같은 한미 현안에 있어 전향적인 조치가 약속된다면 국민들의 반대정서를 어느 정도 누그러뜨릴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물론 그것이 추가 파병의 본질을 바꾸는 것은 아니지만 호혜의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정부의 신중한 판단이 필요한 때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