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침수지역 위생관리 요령-물 끓여 먹어야

태풍 '매미'로 침수피해를 입은 지역에서는 식중독 등 수인성(水因性) 전염병과 유행성출혈열, 쓰쓰가무시병 등 가을철 전염병 등의 발생 위험이 높아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요하다.

침수지역에서는 물, 음식물, 가재도구, 식기, 농작물 등이 대부분 오염된 데다 기온이 오르면서 물을 통해 전염되는 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 이질 등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

또 침수지역에서 수해복구를 하는 과정에서 상처 등을 통해 세균이 침투할 수 있어 맨발로 돌아다니거나 하천 물이 피부에 직접 닿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수인성 전염병 등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모든 음식물을 반드시 끓이고 익혀서 먹고 손발을 깨끗이 씻을 것을 당부했다.

날 음식, 찬 음식 등은 삼가고 저온 살균 등 음식물 보관에도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는 게 좋다.

또 설사, 구토, 고열 등 식중독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김대현 계명대 동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추석 이전에 유행했던 각결막염과 식중독 등이 확산될 우려가 있다"며 "오염된 물에 접촉을 피하고 철저한 소독과 습기 제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침수지역 주민들은 집단 발병 예방 차원에서 보건당국에 연막 및 분무 소독을 적극적으로 요청해야 한다

들쥐 등 야생동물을 매개로 전파되는 유행성출혈열, 쓰쓰가무시병, 렙토스피라병 등 가을철 3대 전염병이 수해로 인해 평소보다 크게 늘어날 것으로 우려된다.

비가 많이 내린 올해의 경우 추석 이전까지 유행성출혈열 환자는 89명, 렙토스피라병 환자는 13명 발생, 작년보다 15~40% 증가했다.

수해지역 등 오염된 물에서 작업할 경우엔 장화나 장갑을 착용해 피부가 물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 등산, 낚시, 캠핑 등을 할 때 풀이나 숲에 바로 눕거나 앉지 말아야 한다.

김교영.이호준기자 (사진설명) 하천이 범람해 가옥지붕과 큰방이 날아가버린 대구시 동구 공산1동의 한 수해현장에서 수재민이 복구일손을 도우러온 친척들과 함께 가재도구를 씻고있다.김태형기자thkim21@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