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부고속철 경주 지나간다

직선화와 백지화를 두고 갈팡질팡하던 경부고속철도 경주통과 노선문제가 정부의 기존안 확정 방침에 따라 일단락됐다.

지역 최대 현안인 국책사업들은 정권이 바뀔 때마다 부산지역에서 제동을 걸어 부산과는 악연(?)이었다.

고속철도의 경주통과 노선을 둘러싼 마찰로 경주~부산간 신규공사 발주가 노무현 정권이 들어서며 중단됐었고, 지난 1994년 YS 정권 때엔 경주경마장 신설이 백지화되기도 했다.

당초 경주노선 확정시 경주.포항.울산 등 환동해권 300만 주민들은 경주역사 역세권개발로 새로운 신도시가 조성될 것으로 기대했었다.

그러나 경주~부산 구간내 금정산.천성산 통과가 부산.경남지역 불교계의 반대에 부딪쳤고, 노무현 대통령이 원점에서 재검토를 지시하면서 사태가 악화됐다.

과거 고속철도 경주통과 노선은 노태우 전 대통령 공약사항으로 추진됐지만 IMF사태로 중단됐다가 DJ정권 때 2단계사업으로 결정되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10년전 경주통과 노선이 확정될 때 불교계와 문화계는 서울~대구~경주~부산노선의 당위성에 동의를 했었다.

그러나 오락가락하는 정부 정책 때문에 환동해권 주민들은 분개했고, 시민단체 주도로 사수운동이 대대적으로 펼쳐졌었다.

경부고속철도 경주역사 사수 범시민추진위 김성수 공동대표는 "조속한 공사재개만이 이반된 민심을 수습할 수 있다"며 "고속철도 경주통과 사수를 위해 수십차례 시위를 했고 상경투쟁을 벌여왔다"고 말했다.

고속철도가 건설되면 전국 여객수송은 하루 18만명에서 62만명으로 늘어나고, 컨테이너 수송능력도 기존 경부선의 처리 능력이 늘어난경우 연간 39만개에서 300만개로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밖에 수천억원대의 시간.비용 절약은 물론 경주를 찾는 관광객 및 울산지역 주민들의 이용이 편리해져 경주역 이용객만 하루 2만여명, 연간 730만명에 이를 전망이다.

경주.박준현기자 jhpar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