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나의제언-초교 교과서 일본식 단어 없애야

대구의 대표적인 공원인 앞산공원에는 '고산골' '큰골' '안지랑골' 등 여러 골이 있다.

여기서 흘러내리는 물이 모두 대구시내를 관통하고 있다.

그 위는 복개하여 차도로 사용되고 있다.

앞산은 팔공산처럼 골이 깊고 길지 않아 비가 오면 물이 흐르다가도 비가 그치면 금새 말라버린다.

이런 특성 때문에 이번 매미호 태풍처럼 순간 강우량이 많을 때는 급류로 변하여 변을 일으킨다.

그중 안지랑골의 경우는 순환도로와 접하는 지점부터 복개되어 있다.

폭 1.5m, 높이 1.5m 정도의 복개천은 순간 강우량이 많았던 이번 경우에는 골에서 흐르는 물이 노도와 같이 변해 많은 토사와 바위가 복개천으로 흘러들어가 경사가 완만한 안지랑 복개천을 완전히 막아버렸다.

급류의 수압을 견디지 못하고 복개도로 상판이 갈라지고 터져 물이 용출하여 자동차 도로를 물바다로 만들었으며 주변 상가와 주택에 큰 피해를 입혔다.

복개도로 상판을 들어내고 토사를 굴착기로 걷어올리는 식의 복구로는 수해와 복구가 몇 년 터울로 계속될 것이다.

왜냐하면 복개천으로 흘러들어가는 바위와 토사를 막는 시설이 없기 때문이다.

앞산공원의 또다른 골인 '큰골'에는 토사를 막는 제방이 두곳에 설치되어 있어 아담한 인공호수도 되고 토사와 바위가 복개천으로 흘러들어가는 것도 막고 있다.

이번 매미호 태풍을 교훈삼아 앞산공원의 계곡과 복개천에 대한 재검토가 있어야 하겠다.

특히 안지랑골의 복개천이 시작하는 지점은 호우가 아니라도 비가 조금 많이 왔다 싶으면 물 구경하는 사람들이 모여들어 아주 위험하다.

굵은 철근으로 입구를 막아 안전사고에도 대비해야겠다.

'급류시 위험'이라는 조그만 경고판으로는 부족하다.

방수영(대구시 대명9동)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