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해설> 노대통령 전격 탈당 배경

노무현 대통령이 29일 민주당을 탈당키로 결정한 것은 자신의 탈당문제가 정치적 논란이 되면서 신4당체제하에서의 대국회관계가 혼선을 빚고있다는 정무수석실의 의견을 전격적으로 수용한 결과로 보인다.

노 대통령의 탈당은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새해예산안에 대한 시정연설을 전후한 10월13일쯤으로 예견돼왔었다. 유인태 정무수석은 이날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조기탈당설을 확인하면서 대통령께 관련보고를 드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노 대통령의 탈당문제는 오는 6일 아세안+3 정상회의에 다녀온 직후 단행될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했지만 노 대통령은 유 수석의 보고를 받자 "당적문제가 소모적인 정치공세의 원인이 되고 있다"며 "더이상 정치쟁점화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당적을 포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유 수석 등 참모들도 이에 동의했다는 것이다.

이처럼 노 대통령이 당적문제를 조기에 정리한 것은 감사원장 동의안이 부결된 직후, 민주당 탈당이 기정사실화되면서 당적문제를 두고 논란이 확산되는 등 정치권에 빌미를 주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무수석실은 신4당체체를 조기에 정착시키기위해서라도 민주당적을 하루라도 빨리 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건의했다. 특히 국감이 중반에 접어들면서 강도를 높이고 있는 상황에서 노 대통령의 당적문제가 정치쟁점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판단에서 당적문제의 조기정리를 건의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노 대통령의 당적문제가 이날 결론난 것은 전적으로 노 대통령의 결심에 따른 것으로 추측된다. 유 수석뿐 아니라 노 대통령의 의중을 잘 알고있는 서갑원 정무1비서관도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이번 주 내에 논의가 있을 것"이라며 이번 주중 논의를 거쳐 10월초순 결론을 낸다는 입장을 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당과의 관계설정문제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결론을 내리지못한 것으로 보인다. 심정적으로 신당을 지지하지만 탈당후 정기국회때까지는 무당적상태를 유지키로 한 것은 개혁, 민생입법과 이라크 파병문제 등 산적한 국정현안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어느 때보다도 한나라당 등 국회의 협조와 동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노 대통령은 오는 10월 13일 시정연설을 통해 초당적인 입장에서의 대국회관계와 국정운영방침을 보다 소상히 밝힐 것이라고 청와대의 한 고위관계자는 밝혔다.

노 대통령이 민주당을 탈당함에 따라 시정연설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경제와 민생, 및 국익이 걸려있는 주요 국정현안에 대한 복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