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3당 대표.총무 회동 재신임 공조에 합의

한나라당과 민주당, 자민련은 15일 대표.원내총무 회동을 통해 재신임 문제에 공동 대처키로 합의했다.

굵직한 3개항의 합의문도 내놓았다.

재신임 국민투표 실시여부와 탄핵.개헌문제 등을 두고 이견이 노출됐으나 3당간 공조 첫 걸음치고는 대체로 무난한 편이었다.

비공개로 진행된 이날 회동의 첫 의제는 정치개혁이었다.

3당 대표들은 (중대)선거구제나 지구당 폐지 등 민감 사안을 제외한 거시적 차원의 정치개혁 문제에 의견접근을 이뤘다

완전한 선거공영제 도입은 물론 국회 정치개혁특위에서 내달말까지 정치개혁 방안을 확정키로 했다.

이어 재신임 문제에 머리를 맞댔다.

민주당 박상천 대표가 '국민투표 위헌론'을 역설했고 한나라당 최병렬 대표는 측근비리 진상규명을 전제로 한 국민투표 수용을, 자민련 김종필 총재도 "국민투표를 하자"는 쪽이었다.

3당은 노무현 대통령이 최도술 전 대통령 총무비서관 등 측근 비리의 진상을 밝히지 않을 경우 국회에서 국정조사를 실시키로 합의했다.

또 검찰수사가 왜곡되거나 미진할 경우 특검수사를 추진키로 의견을 모았다.

이에 따라 재신임 국민투표 연내가능성도 희박해졌다.

박 대표조차 "국정조사를 하면 국민투표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탄핵과 개헌 문제도 화두에 올랐다.

최 대표가 '측근비리 관련의혹이 드러나면 탄핵'이라며 탄핵공조 분위기를 유도하자 박 대표가 "실정법을 위반한 게 없으니 아직 아니다"고 제동을 걸었다.

또 개헌론은 내각제에 몸이 단 자민련(김학원 총무)이 먼저 꺼냈지만 최 대표가 나서"때가 아니다"며 난색을 표했다.

박 대표가 제안한 책임총리제에 대해선 김 총재가 공감을 표시했지만 최 대표가 미지근한 반응을 보였다.

일단 3당 공조에 있어 국민투표와 탄핵.개헌 문제는 불발에 그친 셈이 됐다.

야3당 대표들은 이어"이견을 공개하면 분란으로 비칠 수도 있으니 합의내용만 공개하자"는데 의견을 모으고 2시간여의 회담을 마무리했다.

그러나 회담내용 브리핑을 두고 대변인간 설전이 빚어지기도 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