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재규"유신 후부터 朴대통령 하야 계획"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이 유신체제 성립 당시부터 박정희 대통령 납치.하야 계

획을 세웠고 이후 세차례나 시해계획을 세웠으나 모두 박 대통령에 대한 '정리'와

'인정' 때문에 이를 실행하지 못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사실은 10.26사건 24주년을 맞아 박정희 대통령을 시해한 고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이 대학노트 32쪽 분량으로 지난 80년 1월 21일부터의 군사재판과정, 1

0.26 사건에 대한 자평, 수형생활의 심경 등을 일기체 형식으로 기록한 옥중 수양록

원본이 27일 공개되면서 밝혀졌다.

김 전중앙정보부장은 수양록에서 "72년말 대통령의 3군단 시찰(당시 김재규씨는

3군단장)을 맞아 납치,햐야시킬 생각을 하고 준비를 했지만 차마 결행할 생각이 우

리들의 정리 때문에 사라졌다"고 말했다.

그는 이후 건설부장관과 중앙정보부장을 역임하며 74년 9월, 75년 2월, 79년 4

월 세 차례에 걸쳐 박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권총을 품에 품고 대통령을 시해하려

했으나 이 또한 시행하지 못했고 이에 대해 자신을 질책했다는 얘기도 털어놨다.

그는 수양록 '혁명'부분에서 "마지막 방법으로 혁명을 하는 수 밖에 없다고 생

각, 1979년 4월 혁명을 결행하려 했으나 여건이 좋지 않아 미루다가 10월 26일 드디

어 결행하고 말았다"며 "유신체제를 지탱하는 핵인 박 대통령 각하만 제거하면 다른

것은 손댈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최소의 희생으로 목적을 달성했다"고 자

평했다.

그는 10.26사건의 목적으로 ▲자유민주주의 회복 ▲국민의 희생을 없애고 예상

되는 불행을 예방 ▲적화(공산화) 예방 ▲미국과의 관계개선 및 경제,외교면에서 호

혜이익 도모 ▲독재국가 라는 낡은 이미지 탈피 등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이 헌법(유신헌법)이 아무리 보아도 민주헌법이 아니고 박 대통령

각하의 영구집권을 위해서 만들어졌다는 것을 간단히 파악할 수 있었다"며 유신체제

에 대한 근본적인 반감도 드러냈다.

김 전 중앙정보부장은 이와함께 "불교에 귀의하며 마음의 평온을 찾았다. 육신

을 어떻게 다루던 알바 아니다. 마음의 본성은 공이다. 본성만 확고히 잊지 않으면

세상에 아무련 두려움이 없다"는 말로 사형을 앞두고 불교에 기댄 자신의 담담함을

고백했다.

그는 또한 수양록 노트에 應無所住 而生其心(응무소주 이생기심.머문 바 없이

마음을 내라)이라는 금강경 구절을 흰색 종이에 적어 끼워놓기도 했다.

그는 끝으로 "문제는 밑에 친구들인데 무슨 방법으로든지 살리고 싶다. 법도 정

상참작이 있을 법한데. 아무것도 무슨 영문인지도 모르고 죽는다는 것 누가 책임져

야 하나"라며 '박선호,박흥주외 경비원일동, 김계원,정승화' 등 나머지 10.26사건

관련자를 모두 살리고 싶다는 마음도 적어놨다.(서울=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