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좀 빨랑빨랑 먹어 버릇 혀".
"아, 알았다고".
아침마다 일어나는 다툼. 아니 다툼이라기보다는 할머니의 잔소리에 대한 나의 짜증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가방 좀 제자리에 둬라, 옷 좀 정리해라, 그리고 밥 먹을 때 밥 좀 모아가며 먹어라. 언제나 귀에 붙어다니는 할머니의 잔소리이다.
그런 잔소리를 들으면 나는 울컥 짜증부터 솟아나 나도 모르게 화를 내곤 했다.
그러면 할머니께서는 "그래, 오냐, 내가 잘못했다.
내가 너한테 그런 말이나 들으려고 한 게 아닌데" 하시며 속상해 하셨다.
이런 나날이 반복되던 어느 날, 할머니께서는 서울 이모집에서 일주일을 계시게 되었다.
나는 이제 일주일간은 지긋지긋한 잔소리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짜릿함에 혼자 흥분해 있었다.
할머니께서 서울에 올라가신 그 다음날 아침, 여느 때와 같이 눈을 떴다.
할머니께서 안 계신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상기하며 준비를 하는데. 그리고 보니 아침밥 생각이 났다.
그런데 이게 왠일인가? 텅 빈 부엌은 물론 이제서야 일어나신 엄마!
"엄마, 나 아침밥은?"
"아이고, 엄마가 깜박하고 늦잠을 자서…".
어이가 없기도 했지만 어쩔 수 없이 그날 아침 우리가족은 조용히 미싯가루 한 잔으로 입을 다물었다.
새벽부터 일어나셔서 아침 준비로 분주하시던 할머니 보고 너무 시끄럽다고 불평하던 내가 새삼스레 떠올랐다.
집에 돌아오자 역시 아무도 없었다.
매일 일을 나가시는 엄마와 할아버지는 물론이거니와 서울에 가신 할머니도. 나 혼자만의 시간을 즐길 수 있다는 자유로움에 휩싸여 가방을 휙 집어던지고 TV부터 켰다.
이 시간대에 연속극 재방송을 보시던 할머니께 TV를 뺏길 일도 없었다.
좀 못된 것 같지만 이 은근한 뿌듯함을 누가 알리오? 나는 혼자만의 생각에 사로잡혀 히히덕 거렸다.
하지만 이 자유로움도 며칠 가지 못했다.
집에 들어서면 휑하니 아무도 없었다.
그 차가움을 바꾸려 빈 집안에다 대고 큰 소리로 '다녀왔습니다!' 하고 소리치기도 했다.
어딘가 다녀왔을 때 꼭 어른이 있어야 마음이 놓이는 어린 아이도 아닌데, 하는 부끄러움도 있었다.
하지만 빈 집에 들어설 때의 약간의 쓸쓸함과 아쉬움, 허무함은 스스로에게만은 숨길 수 없었다.
친구들과 어울려 계시다가도 손녀 올 시간 됐다며 얼른 자리를 뜨시는 할머니께 내가 어린아이도 아닌데 정말 부끄럽다며 투정을 부리던 나. 그러면 친구들과 먹다가 너무 맛있어서 남겨 왔다며 빵 따위를 내게 주시던 할머니. 그런 할머니가 그리웠다.
배고프다고 하면 라면을 끓여 주시며 '네 엄마처럼 맛있는 것 못 해준다'며 미안해 하시던 할머니. 그런 할머니가 보고 싶었다
그 날 저녁, 이모집에 계시던 할머니께서 집으로 전화를 하셨다.
"할머니! 빨리 와. 내일이면 오지? 몇 시에 와? 잘 있지?"
내가 먼저 촉새처럼 반가워했다.
"은진이 잘 있었어? 할머니 없으니까 속편하게 잘 지냈지?"
할머니의 그 농담에 내가 할머니를 얼마나 보고 싶어 하는데, 하는 섭섭함에 코끝이 찡해질 지경이었다.
내가 할머니께 얼마나 못 해드렸으면 그러실까?
귀찮다고만 생각되던 할머니가 내 생활에 얼마나 큰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는지 이제야 알게 되었다.
아니, 생활만이 아닌 내 마음 속에서 얼마나 큰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는지도.이제는 일주일만이 아닌 어쩌면 평생 마음 속 할머니의 자리를 비워둬야 할지도 모른다.
난 정말 중요한 것들을 배웠다.
내가 잔소리라고 생각했던 것이 사실은 할머니께서 내게 심어주는 소중한 사랑이라는 것까지도.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