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사태 이후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높은 은행으로 몰렸던 시중예금이 최근들어 이자가 높은 새마을금고나 상호저축은행 등 비은행권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포항본부에 따르면 지난 9월의 지역내 은행권의 수신잔액은 모두 4조7천428억원으로 전월에 비해 404억원 줄었으나 금고.저축은행 등 비은행권 수신잔액은 5조9천221억원으로 8월에 비해 417억원이나 늘어 3개월 연속 신장세를 이어갔다.
이는 예금금리 추가하락으로 은행의 실질예금 금리가 사실상 0%에 근접하면서 예금주들이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높은 투신사나 금고 등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한국은행 포항본부 오진석 과장은 "추석을 전후해 농산물 출하자금이 유입되고 기업체 상여금 지급 등으로 새마을금고와 상호저축은행 수신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또 은행권 관계자들은 "금리가 워낙 낮아 예금유치나 대출 등 은행 본래의 기능으로 수익을 남기기 어려운 시대"라며 "당분간은 기존 대출의 연체방지 및 채권회수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반면 저축은행 등 이른바 제2금융권에서는 은행보다는 높은 이자를 지급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워 자금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비은행기관의 강세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포항.박정출기자 jcpar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저격수'가 추천한 축제…황교익 축제였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 국민의힘 새 혁신위원장
트럼프 '25% 관세' 압박에…한국, 통상+안보 빅딜 카드 꺼냈다
李대통령, 이진숙 국무회의 제외 결정…"공무원 중립의무 위반"
감사원 "이진숙 방통위원장 정치중립 의무 위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