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현안 해결을 위한 6자회담이 북한측의 미온적 태도로 연내 개최가 불투명해
져 내년 1-2월로 지연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2일 알려졌다.
베이징 6자회담 후속회담이 당초 12월 중순께 열릴 것으로 예상됐으나 북한측이
미국의 "즉각적이고 번복할 수 없는 선(先)핵계획 폐기" 요구에 대해 여전히 부정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어 6자회담의 이달 중순 개최가 내년초로 늦어질 가능성이 있다
고 익명을 요구한 미국 정부관계자가 전했다.
미국은 그동안 한국을 비롯, 중국, 일본, 러시아 당국과 잇따라 접촉, 북핵현안
해결을 위한 2차 6자회담을 12월 중순께 열기로 의견을 모았으나 북한측이 12월 중
순 개최에 여전히 동의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애덤 어럴리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북핵 6자회담 재개 일시와 관련, "우리
는 6자회담이 가능한 조기에 열리기를 기대하고 있다"며 그러나 현재로서는 6자회담
날짜 등 특정 현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얘기할 게 없다고 밝혔다.
또 다른 국무부 관계자는 "미국은 6자회담 조기 개최를 위해 외교노력중"이라면
서 그러나 아직까지 날짜는 정해진 게 없다고 말해 6자회담 연내 개최에 북한이 아
직도 동의하지 않았음을 내비쳤다.
북한은 미국이 제시한 다자틀 속에서의 대북 서면 안보보장에 앞서 먼저 핵계획
을 폐기해야 한다는 미측 요구를 거부, 워싱턴과 평양 당국은 대북 서면 안보보장과
핵계획 폐기의 선후 및 동시병행 여부를 놓고 여전히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것
으로 전해졌다.
미국은 이에 따라 이번 주 한국, 일본 등과 고위급 3자 정책협의회를 갖고 북핵
6자회담의 조기 개최 등 북핵현안에 관한 입장을 집중 조율할 예정이어서 회담 결과
및 이에 대한 북한의 대응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