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허술한 대책 조류독감 확산 불러

조류독감의 확산을 보면서 이 정부의 현안대처 능력이 의심스럽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현안은 정치 현안만 현안이 아니다.

전염병은 무엇보다도 긴급한 현안중의 하나다.

이번에 발생한 조류독감이 비록 가축전염병이긴 하지만 인체 전염 가능성을 가진 질병이다.

홍콩에서 7명의 인명을 앗아갔던 조류독감과 같은 유형의 고병원성 바이러스(H5N1)인 것으로 확인이 됐다면 그때 벌써 전국에 비상령을 발동했어야 했다.

매사가 그렇듯이 초기판단과 초동대응이 중요하다.

본란에서 이미 지적했던대로 가축 전염병이 한번 돌면 해당 축산농가는 거의 황폐화된다.

정부의 충분한 후속 대책이 따르더라도 감염지역을 청정지역으로 회복하고 경제 산업적인 재기를 도모하기 위해선 엄청난 노력과 비용이 들어가야 한다.

조류독감이 이처럼 확산되기까지 당국의 초동대처에 문제가 적지 않았다.

충북 음성지역 종계농장에서 집단폐사가 일어난 것은 지난 5일이다.

집단폐사가 나타났다면 병원균 확인 이전에라도 중앙 부서든 자치단체 차원이든 적극적인 대책을 발동했어야 했다.

최초 집단폐사가 진행된지 10일이나 지나서 출입통제 조치를 취했으니 그동안 병원균이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또 감염경로가 청둥오리 등 철새의 분뇨와 분비물로 추정된만큼 당연히 발병지역뿐 아니라 전국에 걸친 광역 방역조치를 강구했어야 했던 것이다.

상황이 어려워진 후에야 정부서 대책회의를 열어 몇가지 대책을 내놓고 국무총리가 삼계탕을 먹으며 닭고기 소비를 부양하려는 움직임을 보인 것은 그것대로 의미 없는 것은 아니지만 개혁정부치고는 구태의연한 모습들이다.

늦었지만 당국은 전국 방역망을 독려해 보다 긴장된 자세로 조류독감의 퇴치에 총력을 기울이기 바란다.

또한 조류독감이 현재까지 사람에게 감염된 사례가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인체에 전염되지 않을 것 같다는 보고가 또다른 실책을 불러서는 절대 안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