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업을 중심에 두라

23일 대구경북개발연구원 주관으로 파크호텔에서 열린 대구경북지역혁신 워크숍에서 이장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은 기업도 눈앞의 이익 창출보다 지속적으로 성장가능한 동력을 찾는다는 관점에서 지역혁신체제를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위원은 경제현장에 대한 치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지역특성에 맞는 혁신체제를 수립해야 하며 기업의 주도적 참여(사용자 중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지역의 혁신역량이 중하위권에 머물고 있는데 대학중심의 대구와 기업중심의 경북이 긴밀한 연계로 혁신체제를 구축해 나갈 것을 제안했다.

이철우 경북대 교수는 지역현안을 철저히 분석한 후 역량에 맞는 산업을 발전시켜야 지역혁신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클러스터란 기업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지원제도까지 포함된 개념으로 네트워크가 가장 중요한 핵심 정책수단인데, 클러스터의 발전 및 혁신을 제약하는 요인은 제도적 빈약, 제도적 파편화, 제도적 고착으로 네트워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토론회에서 김영문 계명대 교수는 정부의 벤처산업 지원이 임대비 등 하드웨어부문에 치중돼있고 벤처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매장하나도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윤주태 매일신문 논설위원은 기업의 주체적인 참여를 지자체가 지원해야 혁신에 성공할 수 있으며, 대구 섬유단체와 지자체의 대립 경험을 반면교사로 네트워크를 제대로 형성해야 구조고도화, 지역혁신에 성공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민병곤기자 minbg@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