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무감사 결과 유출로 빚어진 한나라당의 내분이 확대일로를 걷고 있다.
분당설까지 나도는 등 여야간 격돌 못지 않게 한나라당의 내분상이 17대 총선의 주요 변수로 등장하고 있다.
최병렬(崔秉烈) 대표는 지난 31일 이재오(李在五) 사무총장과 박승국(朴承國) 제1사무부총장을 경질하는 수습책을 내놓았으나 공천심사위 재구성이나 위원 재임명 등의 요구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에 맞서 서청원(徐淸源) 전 대표 등 비주류는 최 대표의 사퇴를 요구하며 서명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또 국회의원.지구당위원장 연석회의 소집 요구도 해놓고 있다.
서 전 대표가 31일 기자간담회를 자청, "최 대표가 직접 사죄해야 한다"고 최 대표에 직격탄을 날리자 서울시지부 소속 원내외위원장 23명은 최 대표의 사퇴를 명시적으로 요구했다.
이들은 비대위 해체와 공천심사위원 사퇴와 함께 모든 지구당에서 경선으로 후보를 선출할 것도 함께 주장했다.
이는 후보의 경쟁력에 따라 단수추천과 경선, 탈락 등으로 나누려는 지도부의 구상 자체를 거부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현 지도부의 사퇴를 요구하는 서명작업을 벌여온 권철현(權哲賢) 의원은 감사대상 118명 의원 중 1차로 받은 72명의 서명자 명단을 최 대표에게 전달하고 조속한 수습을 촉구했다.
또 현역 의원 148명 가운데 90명 이상의 서명을 받았다는 소문도 나돌았다.
이에 대해 최 대표는 "당무감사 결과의 수정보완 과정에서 등급이 뒤바뀐 의원들이 십수명이 되는 것은 사실이나 특별한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며 이 총장과 박 부총장을 경질하는 등 수습에 안간힘을 썼으나 비주류의 마음을 돌리지 못하고 있다.
또 최 대표는 영남권을 중심으로 한 대폭적인 물갈이 구상에는 변함이 없음을 분명히하고 있다.
서 전 대표의 의원.지구당위원장 연석회의 소집 요구에 대해서도 "누가 요구한다고 해서 그렇게 가지는 않겠다"고 일축했다.
최 대표는 또 1일에는 문건 유출을 당내 혼란을 야기하려는 불순세력의 행위라고 주장, 또다른 내분의 불씨를 던졌다.
최 대표는 이날 신년인사차 김영삼(金泳三) 전 대통령의 상도동 자택을 방문한 자리에서 "문건 유출은 누군가가 당을 혼란스럽게 하려는 의도로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말하자면 비주류의 음모론을 제기한 것이다.
한편 비주류측은 별도의 전당대회 개최도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져 한나라당의 내분 사태는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국면으로 진입하고 있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사진:2일 오전 여의도 한나라당사에서 열린 2004년 신년인사회에 참석한 당직자들이 최병렬 대표의 인사말을 경청하고 있다. 김영욱기자 mirage@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