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운용씨 사퇴...태권도 위기설 확산

개인 비리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김운용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부위원장이 9일 국회의원직을 비롯해 세계태권도연맹(WTF)

총재와 국기원장직 사퇴의사를 밝힘에 따라 향후 태권도의 국제 활동이 상당한 혼선

을 겪을 전망이다.

국기 스포츠인 태권도는 지난 30여년간 사실상 김운용 총재의 주도로 세계연맹

을 창설하고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되는 등 국제적인 스포츠로 발전을 거듭했다.

태권도는 60년대 까지만 해도 여러 문파로 나눠져 단일된 힘을 발휘하지 못했으

나 김운용 총재가 71년 대한태권도협회를 설립해 통합작업에 나섰고 73년에는 WTF까

지 발족시켜 현재 179개 회원국을 거느리게 됐다.

또 2000년 시드니올림픽에서는 태권도가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돼 한국 선수

단의 효자 노릇을 했고 오는 8월 열리는 아테네올림픽에서도 태권도는 중점 메달 종

목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처럼 김운용 부위원장은 태권도의 세계화에 지대한 공을 세웠지만 조직내에서

자신을 대신할 2인자를 키우지는 않았다.

WTF에는 한국계를 포함해 6명의 외국인 부회장이 있지만 어느 누구도 김운용 총

재처럼 영향력을 발휘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지난 연말 서울을 방문했던 이상철 미국태권도협회(USTU) 회장 겸 WTF 부회장은

"항간에서 말하듯 김 총재가 잘한 일도 많고 잘못한 일도 있지만 태권도 입장에서는

꼭 필요한 존재"라고 말했다.

또 IOC가 2005년 2월 올림픽 종목의 입.퇴출과 관련해 전면적인 재평가 작업을

벌일 예정인 가운데 김 총재의 사퇴로 자칫 태권도마저 퇴출되지 않을 까 하는 우려

의 목소리도 있다.

WTF 관계자에 따르면 일본은 가라테, 중국은 우슈를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하기

위해 태권도 퇴출을 위한 물밑 로비를 진행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수년 전부터 김운용 총재의 퇴진을 주장했던 반대파들 사이에서는 이 기

회에 태권도 조직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태권도가 진정한 국제스포츠로 자리잡기 위해선 특정인에 좌우되기 보다 조직의

세계화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지난 30년간 태권도는 한국의 국기에서 올림픽 스포츠로 발전했지만 내부

조직은 총재 1인 지배구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막을 내림에 따라 상당한 진통이 예

상되고 있다.(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