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나라 공천 1차검증 "끝"…내분 격화

대구.경북을 포함, 영남권 지역에 대한 한나라당 공천심사위의 1차 검증작업이 27일 사실상 끝이 나면서 공천 불협화음이 터져 나오고 있다.

단수 공천키로 잠정 결정된 후보가 막판에서 빠지는가 하면, 단수 공천자 명단에 포함된 '5.6공 인사'를 두고 소장파 의원들이 집단 반발하는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또 단수공천에서 배제된 일부 의원들과 정치신인들이 당 지도부와 공천심사위에 항의하는 소동이 빚어지는 등 공천 내분이 격화되고 있다.

그러자 한나라당 최병렬(崔秉烈) 대표는 "당 공천심사위에서 단수후보로 추천을 했다고 하더라도 해당지역에 나중에 월등한 영입인사가 있으면 그 사람으로 바뀔 수도 있다"고 반발을 무마하려 노력했다.

쫛…공천심사위는 당초 경북지역 단수 공천 지역으로 6개 선거구를 내정했으나 막판 심의과정에서 포항 남.울릉(이상득)과 영주(박시균) 등 2곳을 제외한 것으로 전해졌다.

나머지 4곳은 상주(이상배), 김천(임인배), 포항 북(이병석), 안동(권오을) 지역이다.

또 구미(김성조)는 분구예상 지역인 데다 김 의원이 공천심사위원이라는 점 때문에 여론조사를 거치도록 했다.

포항 남.울릉이 단수공천 대상에서 빠진 것은 이상득(李相得) 사무총장이 직접 공천심사위측에 "총장이 경북도지부장을 겸직하는 마당에 불필요한 오해를 살 수 있어 여론조사 지역에 포함시켜달라"고 요청했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이 총장에 맞서 공천을 신청했던 김형태(金亨泰) 전 KBS 국장은 "자체 여론조사 결과, 이미 이 총장을 앞서고 있다"면서 "이 총장을 단수 공천한다는 것은 터무니없는 주장"이라고 거세게 항의했다.

김 전 국장은 이를 보도한 언론사에 대해서도 '편파보도'라며 거칠게 이의를 제기하기도 했다.

쫛…영주도 단수공천 대상에 포함됐지만, 일단 상대당 후보와의 경쟁력을 고려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여론조사 지역으로 분류된 것으로 알려졌다.

공천심사위 관계자는 "영주는 단수 추천지역으로 봐도 무방하다"면서도 "그러나 청와대와 열린우리당이 이영탁(李永鐸) 국무조정실장을 '징발'할 것으로 전해진 만큼 좀더 추이를 지켜보자는 의견이 강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영주지역에 공천을 신청했던 우성호 당 부대변인과 박성만(朴晟滿) 경북도의회 기획위원장 그리고 장수덕 변호사측은 "박시균(朴是均) 의원에 대한 현지 여론이 좋지 않다"면서 "단수공천 운운은 오히려 박 의원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들은 "박 의원 단수 공천일 경우 열린우리당에 승산이 없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쫛…한나라당 달성군 공천을 신청한 차종태(車鍾太) 한국청소년연맹총재는 박근혜(朴槿惠) 의원이 단수공천자로 결정된데 대해 "당 공천심사규정에 탈당 등 해당행위자는 공천에서 배제한다는 규정이 있는데 이를 완전히 무시한 처사"라며 무소속 출마도 불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차 총재는 박 의원 공천 반대를 위해 달성군민 5천명 서명운동에 돌입했으며 자신의 사무실에 '공천심사규정에 위배되는 단수공천 웬 말이냐'라는 플래카드도 내거는 등 박 의원 단수공천 반대운동을 확산시켜 나갈 예정이다.

쫛…영남지역에 대한 단수공천 방침이 전해진 뒤 한나라당 공천심사위가 한바탕 홍역을 치렀다.

단수공천 여부를 확인하려는 공천 신청자들이 대거 당 지도부와 공천심사위원들에게 확인 전화를 거는 바람에 공천심사에 차질이 빚어지는 일까지 생겨났다.

급기야 김문수(金文洙) 공천심사위원장과 이문열(李文烈).김성조(金晟祚).이성헌(李性憲) 심사위원이 이날 오후 기자실로 내려와 언론보도 자제를 요청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밀실.구태공천이다 뭐다 말들이 오가고 (단수공천 지역을 두고) 갖가지 설이 분분하지만 이를 공개하거나 확인해 줄 수 없다"면서 "공개하는 순간 공천심사활동이 중단되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여기다 공천심사위원이기도 한 시.도지부장들이 최 대표와 김 위원장에게 몰려가 "공정한 심사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좌시하지 않겠다"고 항의하기도 했다.

파문이 커지자 최 대표는 "공천자는 경선을 다 치른 뒤 16개 시.도지부장이 합석한 자리에서 최종 결정된다"며 "단수후보로 추천을 받았다해도 추후 월등한 영입인사가 있으면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고 반발을 무마하는데 진땀을 흘렸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