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슈조명-교사론

◇교사론

▲정의='敎師'는 '본을 보임으로써 가르치는 어른'을 뜻한다.

단순히 지식과 기술을 전달하는 사람이 아니라 인격적 감화를 통해 학생을 참된 사람됨의 길로 인도하는 역할을 하는 사람이 바로 교사인 것이다.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교사는 일반적으로 가르치는 직업 활동을 하는 사람으로, 일정한 양성 과정을 거쳐 자격증을 받고 초.중.고 등의 공공교육기관과 학교에 채용돼 교육의 임무를 수행하는 사람을 뜻한다.

따라서 교사는 인격적인 존재임과 동시에 전문 직업인으로 정의된다.

▲역할=교사는 학생이 자신의 삶을 잘 꾸려나가도록 돕는 조력자의 역할을 한다.

자신의 기준으로 학생을 제약하는 게 아니라 학생의 개성과 기질, 감성 등을 세밀하게 관찰하고 그에 필요한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교사는 학생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정하도록 기존의 사회 질서를 가르치는 기성 세대의 대리인 역할을 한다.

교육 전문가로서 교과 수업, 상담, 학급 경영 등의 역할도 수행한다.

교사는 지속적인 연구와 자기 계발, 지적 능력과 성숙한 인격, 전문인으로서의 마인드를 균형 있게 발휘해야 한다.

특히 오늘날의 교사는 급격하게 지식정보화 사회로 이양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해 개방적이고 다양한 교육 내용과 방법을 만들어내고 학생과 인격적인 관계를 회복하면서 학급 경영을 모색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

▲자질=교사는 인간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전문직이기 때문에 어떤 직업인보다도 종합적인 자질을 갖춰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인간에 대한 순수한 애정과 섬세한 배려심, 강한 책임감과 신뢰, 인내 등과 같은 훌륭한 인격을 지녀야 한다.

학생들을 건강한 사회인으로 기르기 위해 역사와 사회에 대한 비판 의식과 낙관적 태도도 함께 갖춰야 한다.

학생을 관찰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의 수준과 상황을 판단하는 능력도 중요하다.

아울러 유머 감감, 쾌활성, 개방성, 지속적인 연구 자세, 언어 표현 능력 등도 교사가 가져야 할 자질에 속한다.

▲바람직한 교사.학생 관계=교사와 학생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상호 작용의 관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사가 일방적으로 학생을 조정하거나 강요하는 것은 옳지 못하며 서로를 동등한 인격체로 대하는 수평적 관계가 이뤄져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교사와 학생이 애정과 신뢰를 공유하는 것이다.

서로에 대한 관심과 믿음을 바탕으로 서로의 변화를 이해하고 인정하면서 더 나은 삶을 함께 추구하는 관계를 이루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김재경기자 kjk@imaeil.com 참고자료: 늘품미디어刊 구술.심층면접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