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제설작업 건교부기준 보다 15배 더걸려

'악몽의 30시간'을 만들었던 고속도로 대란 제설

과정에서 도로공사의 눈치우기 작업이 건설교통부가 기준으로 제시한 제설시간 보다

15배 많이 걸린 것으로 파악됐다.

7일 건설교통부가 지난해 12월 제작해 도로공사, 지방국토관리청 등 산하기관에

전달한 도로제설 매뉴얼에 따르면 각 도로의 교통량 및 도로등급에 따른 제설수준을

A.B.C.D 4등급으로 나누고 이중 A등급인 고속도로의 경우 2시간 이내에 평시의 50-6

0%로 운행수준을 회복하도록 제설작업을 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또 B등급은 3시간내 40-50% 운행수준 회복, C등급은 5시간내 통행로 확보를 각

각 요구하고 있다.

하루 500대 미만이 다니는 2차로 일반도로 등 D등급은 추후 제설을 하면 된다.

결과적으로 A등급 수준의 제설작업이 요구된 경부.중부고속도로의 경우 도로가

부분 차단된 지난 5일 오후 2시부터 통행이 전면 재개된 6일 오후 8시까지만을 기준

으로 하더라도 자체 기준보다 15배가 많은 시간이 걸린 셈이다.

건교부 매뉴얼에는 이상기후 등으로 인한 폭설시에는 이런 제설수준을 하향조정

할 수도 있다고 명시하고 있으나 고속도로 제설작업이 만 하루가 지나 30시간이나

걸린 것은 비상식적이라는 평가다.

이같은 제설지연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었던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고속도로 차단 결정이 늦어지면서 초기대응에 실패한 것이 주요 원인이 됐고 자

체 운영이 가능한 제설장비도 부족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고속도로 차단시 도로공사가 현장에서 보유하고 있었던 제설장비는 대전.천안.

논산.진천.영동.무주 등 충청권 6개 지사가 가지고 있던 114대와 경남.경북.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긴급 지원된 42대를 포함해 156대뿐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제설작업에 동원된 983대의 제설장비중 나머지는 민간이나 군 등에 의해서 추후

지원됐다.

도로공사 관계자는 "염화물 살포기의 경우 대당 30-40㎞까지 커버가 가능하지만

장비를 동원하더라도 투입이 어려운 상황이 진행됐다"면서 "차량들이 가득차면서 초

기에는 인력작업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