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탄핵정국, 부동산 '장기침체·활황' 엇갈려

지역 건설, 부동산업계는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탄핵정국이 건설경기를 활성화시킬 것이란 예측과 좋지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란 관측이 엇갈리고 있다.

우선은 노대통령의 탄핵정국이 잔뜩 위축된 부동산시장을 활성화시킬 것이라는 기대가 일고 있다.

지난해 10.29 주택시장안정대책으로 신규아파트 분양열기가 식고, 부동산 거래가 크게 위축된 데다 중개업소마저 문을 닫을 지경으로 만든 부동산 냉탕책을 쓴 노 대통령의 권한 정지가 바로 부동산 투자에 대한 관심을 늘리고, 분양시장을 활성화시킬 것이라는 시각이다.

대구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 대표는 "이헌재 경제부총리가 시장경제를 중시하는 데다 부동산투기에 관한한 강경론자인 대통령마저 권한정지에 놓였으니 투자자들이 부동산투자에 대한 기대를 높이면서 시장은 서서히 활기를 띠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대구의 모 주택업체 대표는 "노무현 정권에서 부동산 안정대책을 내놓은 참모들까지 역할이 위축될 수 밖에 없어 부동산시장의 긴장이 풀리고, 미뤘던 아파트 분양이 다시 시작되는 적극성을 보이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반면 일각에선 탄핵정국이 결국 경제의 강한 불안과 충격요인으로 작용, 지난해 하반기 이후 줄곧 지속되던 침체국면이 장기화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이와 함께 탄핵정국에 의한 불안감이 확대될 경우 금융자산보다 부동산 등 실물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면서 부동산투기붐과 그로 인한 사회적인 파장을 몰고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수성구의 한 공인중개사는 "양도.보유세 강화나 국세청 투기조사 등 부동산 규제가 유야무야될 경우 부동산에 대한 투기심리가 다시 일어날 수 있다"면서 "집값안정을 위해서는 탄핵정국과 상관없이 주택안정대책이 차질없이 지속돼야 한다"고 말했다.

황재성기자 jsgold@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