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권 실세인 이강철(李康哲) 열린우리당 후보에 맞서 한나라당 주성영(朱盛英) 후보와 무소속 후보군이 맞붙은 양상이다.
열린우리당 이 후보에 맞서 한나라당측에서 주 후보를 공천했지만 주 후보가 수성을 공천신청자라는 약점을 갖고 있는데다 현역의원인 강신성일(姜申星一) 의원까지 무소속 출마를 강행하는 바람에 한나라당이 수세인 것으로 분석된다.
열린우리당 이 후보는 최근 자체 여론조사 결과 주 후보를 거의 배 이상 앞지르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탄핵정국이 시작되기 전에는 근소한 차로 앞섰으나 탄핵정국에 들어서면서 지지도를 현격한 차로 벌여놓았다는 것이다.
이 후보는 이같은 우세를 선거일까지 지속시킨다는 전략으로 몸조심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정권 실세라는 점 때문에 상대 후보들의 감시 눈초리가 극심하다고 판단한 때문이다.
한나라당 주 후보는 검사출신으로서의 참신성과 능력면에서 자신을 부각시킨다는 전략이다.
수성을 공천신청자라는 공세에 대해서는 한나라당측에서 강신성일 의원으로는 열린우리당 이 후보와 대적할 수 없다는 판단 때문에 자신을 공천한 것이라며 맞대응하고 있다.
울진 출신으로 경북동해안 5개군 청년회장을 맡고 있는 주 후보는 동구의 동향출신 유권자에 대한 기대가 크다.
한나라당에 대한 지지성향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인물론만 제대로 부각시킨다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강신성일 의원은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면서 대구 한나라당의 '패거리 정치 심판론'을 내세우고 있다.
모 중진의원을 중심으로 한 패거리 정치 때문에 자신이 공천에서 탈락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강 의원의 무소속 출마로 한나라당 기존 조직 이양이 순조롭지 못한 등 한나라당측이 상대적으로 애를 먹고 있다.
무소속 안태전(安泰田) 후보는 '무소속 희망연대' 멤버로 동구에서 무소속 바람을 일으킨다는 전략이다.
민주당 이광수(異光洙) 후보와 무소속 이우태(李宇台) 후보, 김상인(金相仁) 후보도 예비후보 등록을 마치고 전의를 다지고 있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