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탄핵정국에 '박근혜 효과' 주목

4·15 총선...차기 대선의 전초전으로 흐를 가능성 많아

총선을 불과 23일 남겨놓고 한나라당이 불법 대선자금 수사 및 탄핵안 가결 후

폭풍의 벼랑끝에서 꺼내든 '박근혜 카드'가 전국을 강타하고 있는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탄핵 역풍을 가라앉힐 수 있을까.

정치권의 관심은 '박근혜 효과'의 파괴력에 관심이 집중돼 있다. 일단 박 대표

선출은 10% 초반대의 한나라당 지지율을 상당수준 끌어올리는 견인력을 발휘할 것이

라는 관측이 적지 않다.

바닥을 친 한나라당 지지율이 제1당의 50대 초반 여성 대표라는 그의 상품성과

맞물려 상승효과를 일으킬 것이라는 얘기다.

탄핵역풍이 다소 주춤하고 있는 대구.경북 등 영남권이 그 진원지가 될 가능성

이 크다는 지적이다.

여기에 30%대에 이르는 부동층 가운데 '반노(反盧) 비(非) 한나라' 성향의 표심

이 '박근혜 우산' 아래로 모여들지도 총선정국의 변수다.

또한 그가 박정희(朴正熙) 전 대통령의 딸이라는 점에서 보수층의 '박정희 향수'

를 자극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대권주자급이 새 대표로 선출된 것이 가장 큰 파괴력으로 작

용할 전망이다.

지난 1.11 열린우리당 전당대회에서 대권주자인 정동영(鄭東泳) 의장의 선출로

우리당의 지지율이 급상승했던 것과 마찬가지다.

더욱이 한나라당의 고질적인 '불임병'을 치유할 수 있는 희망으로 박 대표가 자

리매김될 경우, 지지층에 집권 기대감을 주면서 여론에 상당한 반향을 불러올 수 있

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박근혜 효과'가 '찬탄핵 대 반탄핵'의 정국 구도를 뚫기에는 역부족이

라는 분석도 적지 않다.

김헌태 한국사회여론연구소장은 "박근혜 대표 선출 자체보다는 박 대표가 탄핵

정국에서 어떤 해법을 제시할 것인지에 따라 효과가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근

혜 효과는 탄핵정국의 종속변수일 수 밖에 없다는 얘기다.

특히 당내 장악력이 약한 비주류 출신의 박 대표에게 얼마만큼의 자율적 공간이

주어질지도 변수다.

과연 그가 당내 주류측의 저항을 뚫고 당 개혁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나갈지 여

부가 한나라당의 지지율 상승의 또 다른 관건이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미 열린우리당은 한나라당 전당대회가 '차떼기당'의 이미지를 탈피하지 못했

고, '제2창당'의 효과도 갖지 못한 총선용 전대에 불과하다고 공격해 왔던 터다.

여기에 박 대표의 선출에 대해 열린우리당의 한 관계자가 "의회 쿠데타 세력의

새 대표가 '군부 쿠데타'의 원조격인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이라고 공격했듯 여권

의 박근혜 효과 흠집내기도 다각적으로 시도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여권내에선 박근혜 효과가 대구.경북(T.K) 지역 표심을 결집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겠지만 부산.경남(P.K)은 그 영향권에 들어가지 않고 오히려 영남권 표심

이 갈라질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무튼 박근혜 효과와 탄핵역풍의 기싸움 과정에서 총선정국은 점점 열린우리당

과 한나라당의 양강구도로 고착돼 가면서 제3정당이나 무소속 등의 입지는 축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데 대부분의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동의하고 있다.

특히 열린우리당 정동영 의장에 이어 민주당 추미애 선대위원장 체제가 예고된

가운데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의 선출은 주요 3당이 대선주자급으로 당의 얼굴을 전

면 교체했다는 점에서 총선전이 차기 대선의 전초전 성격을 띨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서울=연합뉴스)

사진 : 23일 오후 잠실 학생체육관에서 열린 한나라당 임시 전당대회에서 새 대표에 선출된 박근혜의원이 함께 경선에 출마한 후보들의 축하를 받고 있다.(서울=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