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 효과 톡톡

4.15 총선을 바라보는 대구.경북 유권자들의 정당선호도가 요동치고 있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탄핵안 가결 전과 직후 그리고 10여일 후 있었던 한나라당 전당대회 후의 정당지지도가 대조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조변석개(朝變夕改)라고도 할 만하다.

탄핵안 가결 후 대구.경북 유권자들은 당시 한나라당 지지도를 30%대에서 10%대로 급락시켜 17.2%(3.13일 유니온리서치조사)의 지지만을 보냈다.

열린우리당에 대한 지지율은 탄핵 이후 급상승, 최고 23.4%(3월19일)를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지난 23일 한나라당의 박근혜(朴槿惠) 대표 체제 출범 이후 상황은 역전됐다.

열린우리당 지지율이 다소 후퇴하는 대신 떨어졌던 한나라당 지지율이 급격한 상승세를 보인 것이다.

한나라당 지지율은 최근 30% 중반대를 회복했으며 열린우리당은 여전히 20%대를 고수하고 있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한나라당 전당대회 후 무응답층이 한나라당 지지로 돌아선 것이 원인"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박근혜 효과가 무한정의 파워를 발휘하지는 못하고 있다.

한 차례 상승 이후 정체 상황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정당선호도는 대구와 경북간에 미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구의 경우 유권자들이 탄핵정국과 박근혜 체제 출범에 따라 정당지지 성향에서 많은 변화를 준 것과 달리 경북 유권자들의 변화는 미미한 수준이다.

이처럼 선호정당이 오락가락하는 상황에서도 대구.경북 유권자들은 이번 총선을 정당간 대결구도로 바라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대구.경북 4곳(대구 동을, 달서을. 경북 포항남.울릉, 구미을)에 대한 조사에서 유권자의 30%는 정당간 대결이 될 것으로 관측했다.

인물대결이 될 것이라는 응답과 정책대결이 될 것이라는 응답은 각각 10%대에 머물렀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