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이 스스로 자활(自活) 방안을 입안해 내놓으면 중앙정부가 이를 심사, 예산을 지원하는 '지역혁신특성화 시범사업'이 최근 확정됐다.
종전까지 지방에 대한 지원은 중앙정부 부처별로 각각 이뤄져왔지만 이번 사업은 과학기술부.산업자원부.교육부가 예산을 통합해 지원하며 지원대상도 역내 산.학.연이 협력한 프로젝트로 한정, 기관간 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대구시는 올 해에만 전국적으로 460억원이 지원되는 '지역혁신특성화시범사업'이 산업자원부 공고를 통해 확정돼 다음달 20일까지 역내 대학과 연구소, 기업 및 테크노파크, 산학협력재단 등으로부터 사업신청서를 접수받는다고 13일 밝혔다.
'지역혁신특성화 시범사업'은 지역발전과 연관된 전략산업 및 지연(地緣)산업 진흥을 위해 다양한 산.학.연 협력요소(기술개발, 인력양성, 마케팅, 기업지원서비스, 네트워킹, 창업공간 마련 등의 인프라 확충 등)를 연계지원하는 것으로 지역 발전모델 기반을 조성, 자립형 지방화를 촉진하기 위한 것.
이번 사업은 기술개발과 인력양성 등을 위한 '시범프로젝트사업'과 지역 인적 네트워킹 구성을 위한 '포럼활동 지원사업'으로 대별되며 시범프로젝트사업의 경우, 광역지자체내에서 추진되는 혁신기반사업과 2개 이상 광역지자체가 협의해 추진하는 혁신특별사업으로 구분돼있다.
사업 참여 희망 기관은 기업지원기관.대학.연구소.산업체 등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광역시.도에 사업계획서를 내야하며 지역별 '지역혁신협의회' 심의를 거쳐 지자체안이 확정되면 중앙정부가 이를 심의, 예산지원이 이뤄지게 된다.
혁신기반사업의 경우, 대구시 등 광역자치단체별로 올 해에만 25억원 이내의 정부 재정이 투입되며 지방자치단체와 참여기관도 일정부분 투자해야한다.
오충종 산업자원부 지역혁신지원담당 사무관은 "시범프로젝트사업은 사업기간이 3년이내이며 올 해 460억원을 비롯, 내년 이후에도 올 해 예산수준을 웃도는 정부지원이 있을 것"이라며 "지금까지 정부 부처별로 비슷한 지방 프로젝트에 대해 중복예산지원이 나타나는 등 오류가 나타났지만 이번 사업은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등 여러가지면에서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는 이 달 중으로 '지역혁신협의회' 구성을 마무리짓고 지역혁신특성화시범사업을 본격 추진할 방침이다.
053)429-3218.
최경철기자 koala@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