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행정구역 개편.DKIST 입지.공공기관 유치

이번 총선에서는 유독 '감성'을 무기로 한 선거전이 치열했다.

또 선거막판에 금권.관권시비와 비방, 폭로 등 구태가 재연되기도 했다.

그러나 정책이나 공약의 실종 속에 그나마 행정구역 개편, DKIST 입지, 공공기관 이전 등이 쟁점으로 떠올라 유권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정책대결 3제(題)=대구 달성군 가창면을 같은 생활권인 수성구로 편입시켜야 한다는 행정구역 개편 주장이 처음 제기되면서 경산.청도를 수성구와 통합시켜야 한다는 목소리도 덩달아 터져 나왔다.

또 대구 서구와 달서구의 경계를 재조정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KIST) 입지 문제는 대구 달성.동을.북을, 경북 경산.청도, 고령.성주.칠곡 지역 출마후보들 사이에서 논쟁거리가 됐다.

달성군 후보들은 당초 대구시 구상대로 테크노폴리스 부지에 DKIST가 들어와야 한다고 했고, 동을 후보들은 370만평의 광대한 그린벨트 부지가 최적지라고 했다.

북을 및 고령.성주.칠곡 후보들은 인근 구미와 포항을 잇는 칠곡이 요충지라는 점을 내세웠고, 경산.청도 후보들은 세계적 연구 허브가 도시 외곽인 대학타운에 건설된 전례를 들어 경산지역 유치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공공기관 유치 문제도 뜨거웠다.

동대구역세권 개발 타당성을 둘러싼 후보간 공방이 뜨거웠고 후보마다 한국전력, 도로공사, 주택공사, 토지공사 등의 지역 유치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한나라당 후보들은 "야당의 도움도 필요하다"고 주장했고 열린우리당 후보들은 "여당만이 가능한 일"이라고 맞섰다.

◇감성적 선거운동=한나라당 몰표 분위기가 감돌자 지난 11일 열린우리당 김태일.윤덕홍 후보 등 대구 출마후보들이 단식에 나서 파장을 낳았다.

이들은 모든 선거운동을 중단, "고향의 미래를 위해 일당 독재구도만큼은 막아 달라"며 눈물로 호소했다.

게다가 열린우리당 대구후보 부인 6명이 지난 9일 대구백화점 앞에서 국채보상공원까지 약 1km 구간을 삼보일배로 이동하기도 했다.

역시 싹쓸이 방지가 주제였다.

열린우리당 대구 동구갑 이강철 후보는 "한나라당 몰표만은 막아달라"며 13일 팔공산 갓바위를 양말만 신은 채 맨발로 올랐다.

대구 서구 무소속 백승홍 후보는 이회창(李會昌)씨에 대한 지역의 우호적 정서를 끌어와 "이 전 총재가 당선을 기원했다"고 주장, 논란을 가져왔다.

반면 선거운동 기간 내내 '몸조심'으로 일관한 한나라당은 나무 심기와 공약 타임캡슐 묻기 등의 행사로 유권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막판 혼탁 가열=돈 선거 구태는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

돈 봉투를 건넨 혐의로 한나라당 권오을(안동) 후보가 현역 국회의원으로는 지역에서 처음 선관위에 의해 고발됐다.

또 한나라당 장윤석(영주) 후보의 선거대책본부장인 우성호 경북도의원이 13일 긴급 체포됐으며 영양.영덕.울진.봉화 선거구의 모 후보는 관내 노인 수십명을 국회의사당에 초청한 뒤 돈 봉투를 건넨 혐의가 포착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또 문경.예천의 모 후보측 선거책임자가 "후보 동생으로부터 현금 200만원을 받았다"며 이날 양심선언을 해 경찰이 내사 중이다.

이와 함께 관권선거도 적발되기도 했다.

문경시선관위는 13일 박인원 문경시장이 지역별로 200~300명씩 주민 위안잔치를 열고 주민들에게 음식물과 기념품을 제공한 혐의를 포착, 박 시장을 대구지검 상주지청에 고발했다.

◇바람과 무소속의 피해=총선이 대선전을 방불케 하는 공중전 양상을 띠면서 외풍이 어느 때보다 극심했다.

'탄풍'에서 시작된 바람은 '박풍(박근혜 바람)' '노풍(노인폄하)'으로 전선을 형성, 총선판세를 요동치게 만들었다.

탄풍으로 열린우리당의 지지율이 급상승하자 박풍이 터져나왔고 이어 노풍이 불어닥쳐 대구.경북의 선거 분위기를 한나라당 쪽으로 크게 기울게 만들었다.

열린우리당은 이 기세를 막기 위해 급기야 윤덕홍.이영탁.권기홍 후보 등이 나서 노풍의 진원지였던 정동영 의장의 사퇴를 촉구, 이를 실현시키기도 했다.

이런 각종 바람에 피해를 입은 것은 군소 정당 및 무소속 후보였다.

선거 전만 해도 당선권에 가깝게 보였던 후보들이 대거 지지율 하락사태를 감수해야 했다.

무소속 후보들은 악전고투했으나 당선권과는 아무래도 거리가 멀었다.

대구지역 모 무소속 후보는 "선거를 몇 번 치렀지만 이런 선거는 처음 본다"며 "결국 피해자는 유권자"라고 허탈해 했다.

총선취재반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